컨텐츠 바로가기

02.24 (월)

작년 사업용 태양광 신규보급 3년만에 3GW대 회복…공장부지 설치 64%↑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북·경기 보급량 전년 대비 49%·108% 증가

사업용 태양광 신규보급 추이(단위:GW)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지난해 국내 사업용 태양광 신규 보급이 3년 만에 3GW(기가와트)를 회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국내 사업용 태양광 신규 설치 용량이 약 3.16GW를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사업용 태양광 신규 보급 용량은 2018년 2.1GW에서 2019년 3.4GW로 3GW대를 돌파한 뒤 2020년 4.1GW, 2021년 3.9GW로 3∼4GW대를 유지하다가 2022년 2.7GW로 떨어졌다. 이후 2023년 2.9GW로 증가 추세로 전환된 뒤 지난해 3GW대를 회복했다.

공장부지 내 태양광 설치가 늘면서 사업용 태양광 신규 보급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장부지(지목)에 설치된 태양광은 지난해 약 809㎿(메가와트)로, 전년 대비 64%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산업부는 작년 7월 발표한 ‘산단 태양광 활성화방안’을 비롯해 비교적 양호한 계통·주민 수용성, 태양광 모듈 가격 하락,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단가 상승 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태양광 투자 여건이 개선된 것이 보급 증가를 뒷받침한 것으로 분석했다.

지역 별로는 전남(542㎿), 경북(538㎿), 충남(521㎿), 경기(370㎿) 등이 주요 보급 지역으로 꼽혔다. 특히 경북·경기 보급량은 전년보다 각각 49%, 108% 증가했다.

지목별로는 공장용지(809㎿), 답(596㎿), 전(419㎿) 순으로 많이 보급된 것으로 조사됐다.

정경록 산업부 재생에너지정책관은 “지난해 사업용 태양광 보급 성과는 전력망 부족 등 어려운 보급 여건하에서 달성한 값진 성과”면서 “올해도 영농형 태양광 표준모델 수립 등 보급 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태양광 부지 확보, 관련 규제 개선 등을 위해 관계 부처 협력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전력망 여건을 고려한 질서 있는 태양광 보급을 추진하면서 국내 공급망 확보를 위한 태양광 산업생태계 성장을 견인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