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국군 장교와 의용군·민간인 등 한국인 지원자들로 구성
(국가보훈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응진 기자 = 국가보훈부는 한국전쟁(6‧25전쟁) 당시 미군과 국군 장교, 의용군, 민간인 등 한국인 지원자들로 구성된 비정규부대로서 북한 후방지역에서 정보수집, 포로획득, 보급로 파괴 등 작전을 수행한 '미군 제8240부대 유격대'를 '2025년 2월의 6‧25전쟁영웅'으로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보훈부에 따르면 1950년 10월 중공군의 개입 이후 전세가 아군에게 불리해지자 미 제8군 작전참모부는 38도선에서 소규모 상륙작전을 통해 북한군과 중공군을 분산시켜 유엔군의 부담을 줄이고자 유격부대 운용계획을 세웠다.
이에 따라 1951년 1월 중순 서해안 도서 지역으로 철수한 인원들을 중심으로 첩보 수집, 후방 교란작전 등에 투입하기 위해 미 제8군 예하에 서해안 유격군사령부 윌리암 에이블 기지를 창설했다. 같은 해 7월 26일에는 유격대 운용에 대한 관할권이 극동군사령부로 이관되면서 미 극동군사령부 산하 제8240부대가 창설됐다.
동‧서 해안 일대의 작전을 담당하는 제8240부대를 통해 총 32개 유격대, 2만여 명이 활약했고, 휴전 후인 1953년 8월 한‧미 협약에 따라 대한민국 국방부 산하 제8250부대로 재편돼 육군으로 편입, 1958년 4월 창설된 육군 제1전투단(현 제1공수특전여단)의 모체가 됐다.
미군 제8240부대의 작전에 따라 북한은 서부 내륙방어를 위해 약 2만여 명 이상의 병력을 해안 경계에 배치하는 등 적 병력이 전선에 집중되지 못하도록 분산하는 효과를 거뒀지만, 5000여 명에 달하는 유격대원들이 전사하는 희생을 겪기도 했다.
특히, 2024년 12월 공로금 지급신청 기간을 연장하는 '6‧25 비정규군 보상법'이 개정돼 올해 4월 1일부터 내년 3월 31일까지 추가로 신청할 수 있다.
pej86@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