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장 마감 후 실적 발표’ 테슬라·MS 희비 엇갈려
트럼프 관세 위협 관망 모드
국제금값은 3개월 만에 또 사상 최고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일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뉴욕증시는 30일(현지시간) 상승 마감했다.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발표 영향으로 증시가 변동성을 보인 가운데 이날 장 마감 후 애플의 실적에 주목하며 오름세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68.61포인트(0.38%) 오른 4만4882.13에 마무리했다. S&P500지수는 31.86포인트(0.53%) 뛴 6071.1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9.43포인트(0.25%) 상승한 1만9681.75에 마감했다.
지난해 4분기 어닝시즌이 본격화한 가운데 이번 주 시장 참여자들은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성적표를 소화하고 있다. 전날 호실적을 기록한 메타는 이날 1.55% 상승했고, 다소 부진한 실적을 내놨던 테슬라는 저가형 신차 기대감 등으로 2.87% 뛰었다. 전반적 호실적에도 주력 사업인 클라우드 사업의 부진을 기록했던 마이크로소프트(MS)는 6% 넘게 급락했다.
이날 발표된 지난해 4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예상보다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미국 상무부는 작년 4분기 GDP 성장률 예비치가 연율 기준 2.3%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GDP 성장률이 둔화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당분간 기준금리 인하에 신중할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게 됐다. 전날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4.25~4.5%로 동결하고, 성명을 통해 “인플레이션이 ‘다소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B. 라일리자산운용의 아트 호건 수석 시장 전략가는 “우리는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않는 것을 후방 거울에 비춰볼 기회를 얻게 됐다”면서 “그들이 그럴 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며, 경제 데이터는 당분간 연준이 금리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것과 일치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은 멀어졌지만, 이날 미국 장기국채금리가 소폭 내림세를 보이면서 주식시장에 안도감이 형성됐다. 채권시장 벤치마크인 미국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전장 대비 0.01%포인트(p) 내린 4.52%를 기록했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는 전일 대비 변동 없는 4.32%를 나타냈다.
이날 달러화 가치는 강세를 보였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장 대비 0.15% 오른 108.16을 나타냈다.
국제금값은 지난해 10월 말 이후 3개월 만에 역대 최고가를 새로 썼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4월물 금 선물 가격은 전장 대비 1.9% 뛴 온스당 2845.2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으로 안전자산 선호가 높아진 영향이다.
가상자산도 상승세를 보였다.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한국시간 기준 31일 오전 7시 40분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1.59% 오른 10만5211.69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이더리움 가격은 3.46% 뛴 3260.94달러를, 리플은 1.94% 오른 3.14달러를 기록 중이다.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