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딥시크는 엔비디아 H800 칩 등 저사양 GPU(그래픽 처리장치)를 병렬로 활용해 비용 대비 효율적인 AI 인프라를 구축했다. 기존 AI 모델 개발이 고성능 반도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것과 달리, 딥시크는 소프트웨어 병렬 연산 최적화 기술을 통해 최소한의 비용으로 챗GPT와 유사한 성능을 구현하며 주목받는다.
이는 미국의 첨단 반도체 수출 규제 속에서도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글로벌 AI 경쟁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구사한 전략과도 일맥상통한다.
中 빅테크, 엔비디아 의존 탈피를 위한 AI 칩 개발 가속
중국 AI 반도체 산업은 미국의 제재, 정부의 집중적 투자, 빅테크 기업들의 연구개발(R&D), 가격 경쟁력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초고속 성장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 정부는 반도체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AI 칩 개발을 우선순위에 두고 자국 반도체 산업 지원을 강화해 왔다. 화웨이, 알리바바, 바이두 등 중국 빅테크 기업들은 이에 부응하기 위해 자체 AI 칩 개발에 전사적 역량을 집중했다. 그 결과 성능은 비슷하거나 조금 부족하지만, 가격과 물량 면에서는 무시할 수 없는 중국판 AI 반도체 생태계가 만들어졌다.
알리바바 역시 AI 반도체 개발에 적극적이다. 2019년 공개한 ‘한광 800(Hanguang 800)’ 칩은 엔비디아 T4 GPU보다 15배, P4 GPU보다 46배 높은 성능을 기록했다. 특히 자사 비주얼 서치 플랫폼 ‘파이리타오(Pailitao)’에 도입한 결과, 하루 10억 개의 상품 이미지를 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기존 1시간에서 5분으로 단축하는 성과를 거뒀다.
2020년 설립된 중국 AI GPU 스타트업 무어스레드(Moore Threads)는 AI 전용 GPU를 개발하며 '중국판 엔비디아'로 불리고 있다. 이 회사는 엔비디아의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CUDA와 호환되는 GPU를 개발해 기술적 차별화를 꾀하고 있으며, 엔비디아 저사양 GPU 제품의 대체재로 중국 내 시장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중국의 또 다른 AI 반도체 스타트업 비렌 테크놀로지(Biren Technology) 역시 비렌 BR100 GPU를 개발해 엔비디아 A100과 경쟁하는 AI 칩을 선보였다.
D램·파운드리 기술력 강화… 글로벌 시장 영향력 확대
중국의 대표적인 D램 제조업체 CXMT(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 역시 빠른 성장세를 보인다. 2020년 월 4만 장 규모였던 D램 웨이퍼 생산능력은 2024년 월 16만 장으로 4배 확대됐으며, 이는 글로벌 D램 생산량의 약 10%를 차지하는 규모다. 올해는 생산능력을 월 30만 장으로 추가 확대할 계획이며, DDR5 D램 양산과 HBM(고대역폭 메모리) 개발도 본격화하고 있다.
SMIC는 중국 최대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로, AI 반도체 생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화웨이 등 주요 기업들의 AI 칩 생산을 담당하고 있으며, 28㎚ 이상의 공정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7㎚ 공정 기술 개발에도 성공하며,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서의 입지를 넓히고 있다. SMIC의 고객사로는 화웨이, 퀄컴, 브로드컴,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등이 있으며, 2023년 기준 전체 매출 중 중국 내수 시장 비중은 약 74%에 달한다.
국내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CXMT, SMIC 등 중국 반도체 기업들의 기술력이 무시할 수 없는 수준까지 도달했다"며 "과거에는 중국 기업들이 한국 반도체를 확보하기 위해 동남아시아 등을 우회했지만, 이제는 자국 반도체 공급망을 통해 직접 반도체를 확보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했다"고 말했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