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서울의 한 아파트 재건축 현장
공사비 상승 여파로 지난해 서울의 아파트 분양가가 평당 900만 원 이상 오르며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2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민간아파트의 3.3㎡(1평)당 평균 분양가(공급면적 기준)는 4천408만 9천 원으로 전년(3천500만 8천 원) 대비 908만 1천 원(25.9%↑) 상승했습니다.
분양가와 상승률 모두 HUG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5년 이래 최고치입니다.
이어 2019년 2천629만 8천 원(7.5%↑), 2020년 2천831만 7천 원(7.7%↑), 2021년 3천300만 2천 원(16.5%↑), 2022년 2천983만 1천 원(9.6%↓), 2023년 3천500만 8천 원(17.4%↑) 등으로 2022년을 제외하고는 줄곧 상승세를 유지했습니다.
이에 따라 수도권의 평당 분양가 상승률도 지난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습니다.
지난해 수도권의 평당 분양가는 2천813만 6천 원으로 전년 대비 15.4% 상승했습니다.
수도권 분양가도 2020년까지 평당 2천만 원을 밑돌았으나 2021년 2천92만 9천 원, 2022년 2천124만 원, 2천438만 7천 원 등으로 지속 상승했습니다.
2023년 전국 평당 분양가는 1천739만 2천 원으로 전년(1천548만 8천 원) 대비 12.3% 올랐습니다.
지난해 상승률은 8.6%였습니다.
경기(25.8%↑)와 광주(23.8%↑), 충남(16.2%↑), 전남(26.5%↑), 경남(13.2%↑) 등도 2023년에 역대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습니다.
또 당분간 이러한 분양가 상승세가 지속되며 올해 평균 분양가가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자잿값 상승세는 최근 다소 둔화했다고 하지만 인건비 상승세가 여전하고, 관련 규제 강화로 각종 안전 및 품질 비용 부담도 예전보다 훨씬 큰 상황"이라며 "여기에 금리와 환율 등으로 인한 각종 금융비용까지 더하면 서울이 아니라 지방이라도 분양가가 낮아지길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