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가족들과 화투치고, 혼자선 술 마셨다”···설 명절 편의점 매출 뜯어보니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편의점 매출로 살펴본 설 명절 풍경

해외여행 급증···공항 점포 매출 3배 ↑

국내선 가족과 화투·카드·완구 즐기고

'혼명족'은 술·도시락·냉장안주 찾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설 연휴 기간 해외 여행객이 급증하며 공항 내 편의점 매출이 지난해 설 연휴 대비 약 3배 뛰었다. 국내에서는 입지별로 화투, 주류, 도시락 등의 매출이 급증하며 가족·친지들과 함께 명절을 보내는 사람들과 홀로 명절을 쇠는 이들의 풍경이 대조를 이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여행객으로 바글바글”…공항 편의점 매출 3배 뛰며 특수
31일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에 따르면 설 연휴였던 25~28일 인천·김포·김해·제주국제공항 등 주요 공항의 편의점 매출은 지난해 설 연휴 대비 168.1% 늘었다. 이용객이 가장 많았던 인천공항 내 CU 점포 전체 매출은 3배(239.9%) 이상 뛰어 가장 높은 신장률을 기록했다. 김포국제공항(118.6%), 제주국제공항(82.7%), 김해국제공항(53.3%) 매출도 늘었다. 해외 여행객들이 공항 편의점에서 많이 찾은 것은 안전상비의약품으로 지난해 설 연휴 대비 관련 매출이 576.9% 급증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선 가족·친지들과 화투치고, 관광지 찾아

국내에서 가족과 함께 설 연휴를 보낸 사람들은 편의점에서 화투를 많이 구매했다. CU에 따르면 27~29일 3일간 주택가 인근 편의점에선 전주 같은 요일 대비 화투와 카드 매출이 645.2% 뛰었다. 모처럼 가족들을 만나면서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 상품을 많이 찾은 영향이다. BGF리테일 관계자는 “화투와 카드는 연휴 때 유독 판매가 급증하는 대표적인 상품”이라며 “주택가 인근 점포에서는 명절 기간 화투 발주량을 평소 대비 11배 가량 늘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뱃돈을 넣는 봉투와 아동용 완구류 매출도 평소보다 각각 474.2%, 328.2% 증가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명절에 가족 단위로 가는 여행이 과거보다 부쩍 늘면서 관광지 인근 편의점도 매출 호조를 보였다. 관광지 인근 점포의 경우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토이캔디 매출이 398.1% 올랐고 휴대하면서 먹기 쉬운 간식류의 수요도 높아져 핫바와 젤리의 매출도 각각 205.7%, 198.5% 올랐다.

서울경제




‘혼명족’은 위스키·소주·도시락으로 설 연휴 즐겨

같은 기간 원룸촌 편의점에서는 주류 중에서도 위스키 매출이 257.2% 늘었다. 위스키에 넣어 마시는 얼음 매출도 197.8%가량 뛰었다. 귀성하지 않고 홀로 명절을 보내는 이들(혼명족)이 많이 찾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원룸촌 인근 편의점 도시락도 평소 대비 97.5% 더 잘 팔렸다. 인건비와 원재료 상승 등으로 연휴 기간 문을 닫는 식당이 늘면서 빈 자리를 편의점이 대신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명절 연휴 원룸촌 인근 편의점 CU의 도시락 발주량과 판매량은 일반 주택가 대비 20~30% 더 높았다.

공장 근로자들이 모인 산업지대 편의점에서도 소주(189.5%), 냉장안주류(146.5%) 매출이 크게 늘었다.



올 연휴 편의점 효자템은···휴게소 ‘커피’, 터미널 ‘보조배터리’, 유흥가 ‘숙취해소제’

휴게소 내 편의점에선 커피와 과자가 인기를 끌었다. 평상시보다 차량 유동량이 늘면서 운전자들이 졸음을 깨기 위해 커피 음료를 평소보다 388% 더 많이 구매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생수, 차음료, 에너지음료 등의 매출도 평소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차 안에서 가볍게 즐길 수 있는 과자류(294.6%) 매출도 3배 이상 늘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휴 기간 귀성객이 몰리는 터미널에서는 충전케이블, 보조배터리 등의 휴대폰용품의 매출이 평소보다 약 9배로(782.3%) 뛰었고 특히 장거리 이동 중에 동영상 시청할 때 필요한 이어폰(324.2%)을 찾는 사람도 늘었다.

긴 연휴로 유흥가 편의점도 명절 기간 매출 호황을 이루며 주류를 먹기 전후 주로 먹는 숙취해소제(320.8%)와 아이스크림(319.7%)이 인기를 끌었다.

이종대 BGF리테일 영업기획팀장은 “CU는 명절 기간 입지별 다채로운 수요에 맞춰 인기 상품의 재고를 충분히 확보해 언제 어디서나 고객이 필요한 상품을 구비했다”며 “특히 올해 설날은 긴 연휴로 인해 입지별 인기 상품의 매출 상승세가 예년보다 더 도드라졌다”고 말했다.

김남명 기자 name@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