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0 시대의 식탁은 다소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변화의 주인공은 트럼프 대통령이 아니라 29일(현지시간) 상원 인사청문회를 시작한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HHS) 장관 후보자다. 그는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 조카이며 환경을 파괴하는 대기업들과 싸워 온 환경 전문 변호사다.
그는 지난해 대선에 무소속으로 출마했다가 11월 트럼프 지지 뒤 후보에서 사퇴했다. 이후 트럼프 후보와 ‘미국을 다시 건강하게(Make America Healthy Again)’라는 캠페인을 펼쳤다. 캠페인 핵심은 미국 식품 공급망의 70%에 이르는 패스트푸드와 탄산음료 같은 초가공 음식을 줄여 미국인을 비만에서 구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학교 급식에서 가공식품을 배제하고 패스트푸드용 농산물에 대한 보조금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진보적 환경운동단체들이 해왔던 주장이다. 그가 만약 복지부 장관에 취임하면 식품산업은 물론이고 미국인의 식탁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점쳐진다.
하지만 넘어야 할 벽은 많다. 먼저 인사청문회다. 케네디 주니어 후보자는 코로나19 이전부터 “백신이 자폐증을 유발한다”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주장을 했다. ‘우유 살균 반대’도 그중 하나였다. 인사청문회도 과거 발언에 대한 추궁이 이어졌다. 그는 “백신을 지지하고 안전을 찬성한다”며 진땀어린 해명을 해야 했다. 청문회를 통과한다고 해도 초가공식품의 대명사인 맥도널드와 코카콜라를 사랑한다고 외쳐온 트럼프 대통령을 넘어설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트럼프가 사랑한다는 햄버거와 콜라 같은 초가공식품을 제외하지 않고는 미국인을 다시 건강하게 만들기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2.0 시대의 식탁에 내가 삐딱한 시선을 갖는 이유다.
권은중 음식 칼럼니스트 |
권은중 음식 칼럼니스트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