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블랙호크, 여객기 피해가라" 관제탑 경고 30초 후 '충돌 참사'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충돌 30초 전, 관제사-헬기 교신 확인

관제사, 여객기에 활주로 변경 요청도

트럼프 "막았어야 할 사고…인재 가능성 제기"

미국 수도 워싱턴DC 인근 로널드 레이건 공항에서 여객기와 군용 헬기 충돌이 발생한 가운데, 사고 직전 관제사가 헬기 조종사에게 착륙 중인 여객기를 확인했는지 수차례 경고한 정황이 밝혀지면서 사고 원인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미국 워싱턴 포토맥강에서 추락 항공기와 생존자를 수색중인 구조대의 모습. 게티이미지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0일(현지시간) CNN은 항공교통관제 통신 내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라이브ATC'를 통해 사고 당시 교신 기록을 공개했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로널드 레이건 공항 관제사는 미 육군 소속 블랙호크 헬기(PAT 2-5) 조종사에게 "착륙 중인 여객기가 보이느냐"고 반복해서 확인했다. 이어 "PAT 2-5는 CRJ(여객기) 뒤로 지나가라"고 지시했다.

이에 헬기 조종사는 "여객기가 보인다. 시각적 분리 요청"이라고 응답했지만, 13초도 지나지 않아 교신은 끊겼고, 직후 관제탑에서는 "으악(oooh)" 하는 외침과 가쁜 숨소리가 들려왔다.

해당 여객기는 아메리칸항공 계열 PSA항공의 CRJ700 기종으로, 로널드 레이건 공항에 착륙하던 중 블랙호크 헬기와 충돌한 것으로 확인됐다. 충돌 후 두 항공기는 근처 포토맥강으로 추락했다.

AP통신에 따르면, 관제사가 헬기 조종사에게 여객기를 확인했는지 물은 시점은 사고 발생 30초 전이었다. 사고 직후 관제사는 공항에 진입 중이던 다른 항공기에 "충돌이 발생했다. 당분간 공항 운영이 중단될 예정"이라고 알렸다.

또한, 사고 여객기는 착륙을 몇 분 앞둔 시점에서 새로운 활주로(33번 활주로)로 착륙이 가능하겠느냐는 요청을 받고 이를 수락한 정황도 드러났다.

미국 워싱턴 포토맥강에서 추락 항공기와 생존자를 수색중인 구조대의 모습. 게티이미지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후 착륙을 위해 경로를 조정하던 중 약 고도 122m에서 시속 225km로 비행하다 급격한 고도 저하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객기의 마지막 무선 송신은 활주로에서 약 730m 떨어진 포토맥강 상공에서 끊겼다.

사고 발생 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이것은 막았어야 할 나쁜 상황이다. 좋지 않다"며 사고 원인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여객기는 규칙적인 착륙 경로에 있었고, 헬기는 오랫동안 그 방향으로 직진했다"며 "맑은 밤이었고 비행기 불빛이 선명했는데 왜 헬기는 피하지 않았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관제탑은 헬기 조종사에게 단순히 '무엇이 보이느냐'고 묻는 대신 정확한 조치를 지시했어야 한다"며 관제 시스템의 문제를 언급했다.

미국 언론이 공개한 사고 당시 영상에는 여객기와 헬기가 공중에서 충돌하며 커다란 화염을 일으키는 장면이 포착됐다. 현재 당국은 포토맥강에서 심야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여객기와 헬기 포함 총 67명의 탑승자 생존 여부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