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선거 관련 증인 선별 관측"
[앵커]
탄핵심판이 얼마나 더 빨라질지는 앞으로 추가되는 증인 수에 달려 있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부정선거론과 관련한 사람까지 30명가량을 증인으로 신청해 노골적인 지연 전략이란 지적을 받고 있는데 헌재는 부정선거론 관련 증인은 상당수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속도를 낼 걸로 보입니다.
정영재 기자입니다.
[기자]
헌법재판소는 다음달 13일, 8차 변론까지 일정을 잡아 뒀습니다.
이 기간까지 하면 국회 측 5명과 윤석열 대통령 측이 신청한 4명의 증인 신문은 모두 마무리됩니다.
그 뒤 일정은 추가되는 증인 숫자에 달려 있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30명가량을 증인으로 신청한 상황입니다.
특히 1/3가량은 이름도 특정하지 못한 채 부정선거 관련 증인으로 신청했습니다.
재판부는 그러나 앞선 증인 신문에서 부정선거와 거리를 두는 대신, 국회 기능 마비에 집중했습니다.
[김형두/헌법재판관 (지난 23일) : 포고령 가지고 계신 분 있으면 좀 보여주세요. 정치 활동을 금한다고 돼 있거든요. 종합해서 보면 결국은 가장 주된 목표가 입법 기구인 국회 기능을 정지시키겠다…]
이 때문에 재판부가 다음 주 누구를 증인으로 부를지 결정할 때 부정선거와 관련한 증인은 상당수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필요한 증인만 선별해 탄핵심판에 속도를 낼 거란 관측입니다.
추가 증인 숫자가 결정되면 언제쯤 탄핵심판의 결론이 나올지 윤곽이 드러납니다.
이러한 전례를 감안할 때 3월 안에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결론이 나올 수 있단 관측이 제기됩니다.
[영상편집 지윤정]
정영재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