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나노 등 민간 발사체도 하늘로
'재도전' 우나스텔라·페리지 주목
지자체 운용 인공위성도 속속 띄워
국내외 우주전시회 참여 확대 총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올해 우주 수송분야와 인공위성 분야에서 정부와 민·관 기업들이 잇따라 발사체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오는 2월 미국 NASA와 함께 개발한 우주망원경 발사를 시작으로 11월에는 민간기업이 주도하는 누리호 4차 발사가 대미를 장식하면서 세계 5대 우주 강국 도약의 발판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올해는 우주항공 주도권 확보를 위해 국가 간 경쟁이 어느 때보다 치열한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우주항공청은 '우주항공 패권시대'에 우리나라가 기회를 선점하고 나아가 세계 우주항공 산업을 선도하도록 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고 우주항공 5대 강국을 향한 본격적인 비상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누리호·블루웨일·한빛 나노… 국산 발사체 하늘로
우주 수송 분야에서는 민간 기업들의 발사체가 먼저 하늘로 오른다.
■기업·지자체·정부 인공위성 하늘로
3월에는 쎄트렉아이와 진주시의 인공위성이 발사된다. 쎄트렉아이는 자체 개발한 고해상도 지구관측위성 '쎄트렉아이-T'를 궤도에 올려 30㎝급 고해상도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서비스할 계획이다. 같은 달에 국내 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진주시가 초소형 위성 '진주샛-1'을 우주로 보낸다. 진주시와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경상국립대가 참여해 개발했다. 큐브위성 크기이지만 지구 사진을 촬영하는 임무를 띄고 있다. 진주시는 위성 개발 기술 축적과 전문인력 양성 등 우주산업 생태계 기반을 조성을 목적으로 추가 개발할 계획이다.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위성) 7호가 이르면 9월에 프랑스 아리안스페이스의 베가C 발사체에 실려 발사할 예정이다. 이후 4·4분기에 아리랑 위성 6호도 올라간다. 아리랑 7호는 30㎝급 초고해상도 광학카메라, 적외선(IR)센서, 고기동자세제어 시스템이 장착돼 있어 고도 500~600㎞ 상공에서 한반도를 정밀 관측한다. 아리랑 6호는 50㎝급 영상레이더(SAR)를 장착해 주·야간 빛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구름 등 기상 상황과 관계없이 지상을 관측할 수 있다.
■국내외 전시회에 우리 우주기업 참가
이외에도 우주항공청은 국내외 주요 우주 관련 전시회가 열리고 여기에 우리 민간 우주기업들이 해외 진출할 수 있는 행사도 준비, 지원한다. 4월에는 체코 우주 기업인 초청 행사를 갖고, 6월에는 미국 스페이스 테크 엑스포에 우리 기업들이 참여할 수있도록 지원한다. 또 10월에는 경기도 성남 공군 비행장에서 열리는 ADEX, 호주에서 개최하는 국제 우주대회, 11월 유럽에서 열리는 스페이스 테크 엑스포에 참가 지원으로 우주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한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