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4차 변론에 출석해 앉아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 처음으로 구속 기소되면서 사상 초유로 형사재판과 탄핵심판을 동시에 받게 됐다. 최소 일주일에 세 번은 재판에 출석해야 하는 상황에 몰리게 된 것이다. 윤 대통령은 그동안 수사와 탄핵심판에서 보인 ‘지연 전략’을 이번엔 모든 법적 수단을 동원해 ‘중단’시키는 전략으로 바꿔 임할 것으로 보인다.
헌재법 51조 근거로 ‘탄핵심판 중단’ 요구할 듯
윤 대통령의 ‘중단 전략’은 먼저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에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헌법재판소법 51조가 ‘탄핵심판 청구와 같은 사유로 형사소송이 진행되면 (헌재) 재판부가 심판 절차를 정지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 점을 공략하는 식이다. 실제 최근 손준성 대구고검 차장검사(검사장)는 자신에 대한 항소심 재판 결론이 날 때까지 탄핵심판 절차를 멈춰달라고 요구했고, 헌재가 이를 받아들여 탄핵심판 절차가 멈췄다. 다만 중단 신청을 한다고 해서 헌재가 반드시 심판 절차를 중단해야 하는 건 아니다. 요청을 수용할지는 재판관 재량이다.
헌재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변론준비기일 때부터 “탄핵심판은 형사재판이 아니고 헌법재판이다”라고 여러 차례 강조해왔다. 이번 탄핵심판 사건은 헌법 77조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가 있어서 병력으로써 군사상 필요가 있었느냐’ 규정을 위반했는지가 핵심이다. 윤 대통령이 구속 기소돼 형사재판이 시작된다고 해도 이미 진행 중인 탄핵심판 사건 심리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주 2회 변론’을 그대로 진행하게 된다.
변론권 보장 이유 형사재판 중단 요구 가능성도
윤석열 대통령 2차 체포영장 집행이 진행된 지난 15일 과천청사 공수처 청사로 윤 대통령이 출석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 대통령 측은 형사재판의 중단도 요청할 수 있다. “탄핵심판 변론권이 제대로 보장되지 않고 있다”면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검찰 수사를 거부해온 논리를 그대로 형사재판에도 동원하는 식이다. 다만 윤 대통령 측 윤갑근 변호사는 30일 “아직 정해진 건 없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1심 단계에서는 최장 6개월 구속된다. 검찰이 추가 혐의로 기소한다면 구속 기간은 더 늘어나게 된다. 윤 대통령이 구속된 만큼 형사재판은 속도감 있게 진행될 전망이다.
윤석열, 공소기각·증거능력 부인 전략 펼 듯
향후 윤 대통령의 형사재판의 핵심은 내란죄 처벌을 규정한 형법 87조의 적용여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법 조항에 규정된 대로 ‘국헌을 문란하게 할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켰는지’를 놓고 법정싸움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윤 대통령이 체포돼 구속된 기간 대면 조사는 한 차례 밖에 진행하지 못했지만, 탄핵심판대에서 확인한 윤 대통령의 직접 발언과 사실조회 회신 등이 증거로 제출될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 측은 수사권과 수사절차 문제를 집중 제기하며 ‘공소를 기각해야 한다’ 등 주장도 할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 측은 수사 초기부터 공수처의 수사 적법성을 문제 삼아왔다. 불법수사이므로 기소 자체가 무효라며 공소기각 주장을 하는 식이 예상된다.
유선희 기자 yu@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