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연 확장 노렸는데 복잡해진 셈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일러스트/이미지=비즈워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국내 정보기술(IT) 기업들의 셈법도 복잡해졌다. 인공지능(AI) 기술에서 이미 한발 앞서가는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트럼프의 자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기조 속에서 더욱 지배력을 키울 가능성이 커서다.
앞서 1기 행정부 당시 정책 방향과 최근 행보를 감안하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에도 극단적인 자국 우선의 지원책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 빅테크 기업들과 관계가 최근 매우 우호적으로 바뀐 점은 주목할 부분이다.
실제 아마존, 메타는 트럼프 1기 행정부 재임 당시 트럼프와 매우 불편한 관계였다. 일례로 아마존은 2019년 미국 국방부의 클라우드 컴퓨팅 프로젝트 제다이(JEDI) 입찰에서 탈락한 것을 두고 트럼프의 방해가 있었다며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제프 베조스 아마존 창업자가 백악관 비판 논조의 워싱턴포스트(WP) 사주인 점도 민감한 부분이기는 마찬가지였다.
최근 상황은 급변했다. 베조스와 저커버그 모두 트럼프의 대선 과정에 막대한 자금을 대며 지원 사격에 나섰다. 지난달 2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는 이들 두 사람을 비롯해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등 글로벌 빅테크 주요 인사들이 나란히 자리했다. 특히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 가족들 바로 뒤에 자리로 배정받는 등 주요 인물로 참석했다.
미국 우선주의 기조 아래 국제 무대에서도 다자간 AI 협력보다는 미국 중심의 AI 정책을 펼 가능성이 높다. 중국 등 다른 AI 경쟁 국가보다 미국이 앞설 수 있게 AI 산업을 장려하고 방해가 되는 규제는 없애는 방향이다.
당장 국내 IT 기업들의 발등에는 불이 떨어졌다. 이미 벌어진 기술 격차도 문제이지만, 후발주자로서 글로벌 빅테크와 협업해 외연 확장을 노리는 이때 빅테크의 강해진 영향력은 자칫 사업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은 자체 AI 서비스 '에이닷(A.)'에 퍼플렉시티와 챗GPT, 클로드 등 글로벌 빅테크 서비스를 탑재한 상태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MS)에 앞으로 5년간 약 2조4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삼일PwC경영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한국 산업의 돌파구를 찾아서: 2025년 산업전망'에서 "AI 시장에서 미국의 독주가 지속될 전망"이라며 "특히 미·중 AI 패권경쟁 속에서 우리 기업의 AI 경쟁력 틈새 확보를 위해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