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신포시 바닷가양식사업소 준공식이 지난해 12월 28일 진행되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지방 경제 발전 다양화를 모색 중인 북한이 최근 수산업 발전 중요성을 연일 강조하고 나서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북한 관영 라디오 조선중앙방송은 지난 26일, 각지의 바다가양식사업소가 다시마 모내기를 진행하고 있다며 "당이 제시한 새년도 수산물 생산 목표를 반드시 점령하기 위한 투쟁이 힘있게 전개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 수산연구원의 심성보 원장은 최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조선 동해는 해안선이 단조롭고 섬이 비교적 적은 편이지만 동조선만을 비롯해 여러 만이 있어 바다 양어와 양식에 비교적 유리하다"고 언급했습니다.
북한의 '수산업 띄우기'는 지리적 특색에 맞게 각 지방을 육성하자는 최근 대내 경제 방향과 맞닿아 있습니다.
수산업은 지난 2017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제2371호를 통해 수출이 막히기 전까지 석탄, 철광석 등과 함께 북한의 주요 외화벌이 수단 중 하나였습니다.
2011년 12월 김정일 사망 당시 '마지막 친필문건'도 주민들에게 물고기를 공급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북한 내 주요 '돈벌이'인 수산업은 김정은 위원장의 고모부인 장성택 처형의 발단이 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배준우 기자 gate@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