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2.22 (토)

꽁꽁 언 부동산 시장…공인중개사들 경매 대리 '부업' 뛴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거래 절벽 속 공인중개사 휴·폐업 증가

"단순 중개로 생존 어려워...수익원 찾아야"

사진은 13일 서울 송파구의 공인중개사 사무소 모습. 2024.2.13/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 서울에서 공인중개사로 활동 중인 A 씨는 최근 법원 경매 대리 업무를 병행하고 있다. 그는 "매매나 전월세 계약만으로는 생계유지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중개 거래 자체가 크게 줄었기 때문에 새로운 수익원을 찾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공인중개사 B 씨도 마찬가지다. B 씨는 "일반 중개보다 경매 수수료가 높고, 시장 침체기에도 일정 수요가 있어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단순 중개로는 살아남기 어렵다는 판단에서 (경매)를 시작했다"고 귀띔했다.

30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만 4710개의 공인중개사무소가 폐업하거나 휴업했다. 하루 평균 약 40곳이 문을 닫거나 영업을 중단한 셈이다. 같은 기간 1만 307곳이 개업했지만 폐·휴업 수가 4403곳 더 많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공인중개사 시험 응시자 수도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해 시행된 제35회 공인중개사 시험에는 15만 4699명이 응시했는데, 전년 대비 약 4만 5000명 감소했다.

공인중개사들이 경매 대리나 법무사 업무에 뛰어드는 이유는 거래 감소로 인한 생존 위기 때문이다. 중개 업무만으로는 월세나 운영비를 감당하기 힘든 업소들이 늘어나면서 부업이 사실상 필수가 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4년 11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전국 주택 매매량은 4만 9114건으로 전월 대비 13.2% 줄었다. 특히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3773건으로 5.7% 줄어들며 4개월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상반기 소폭 증가하다 8월 7609건을 기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후 9월 4951건, 10월 4000건으로 감소 폭이 커졌으며 11월에는 3000건대로 내려앉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부동산 거래 절벽이 장기화하며 공인중개사들이 법무사 자격증 취득이나 경매 대리 서비스 등 기존 중개업 외의 새로운 영역에 발을 넓히고 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법원 경매 대리 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관련 교육과 경험이 필수"라며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공인중개사의 경매 대리 업무 진출을 돕고 있다"고 말했다.

hj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