궈타이밍 폭스콘 창업자
‘흙수저’로 태어나 부품 업체 창업
의지의 영업맨·中공장 등 타고난 승부사
각종 막말로 구설…정계 진출 도전도
‘바다 건너는 기러기’라는 큰 꿈
부유한 집안 출신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달리 궈타이밍은 가난한 집안의 장남이다. 궈타이밍의 부모는 중국 본토 산시성에 살던 한족이었다. 이들은 1949년 중국 공산당이 본토를 모두 장악할 때 국민당 정권을 따라 대만으로 망명했고 1950년 궈타이밍이 태어났다. 궈타이밍은 대만에서 나고 자랐지만 본토에 뿌리를 둔 셈이다.
2023년 당시 대만 총통 선거에 출마를 선언했던 궈타이밍 폭스콘 창립자.(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해운 관련 실무자를 양성하는 대만 중국해사전과학교(대만해양과기대학)를 졸업 후 그는 해운회사에 입사했다. 그는 그곳에서 해외 시장과 플라스틱 제조업 발전 가능성에 눈을 떴고, 모친에게 받은 결혼자금 등으로 1974년 폭스콘의 전신 ‘훙하이 플라스틱’을 창업했다. 이 회사는 TV 회전 손잡이 제조회사였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석유 파동이 터졌고, 플라스틱 제조 비용이 크게 상승했다. 궈타이밍이 인생에서 가장 어려웠던 시기 중 하나로 이때를 꼽는다.
“상인에게 조국은 없다”
기회를 잡은 그는 탁월한 승부사 기질을 발휘했다. 1년 가까이 미 전역을 돌면서 컴퓨터와 게임 회사들을 무턱대고 찾아갔다. 문전 박대 당하거나 산업 스파이로 오인 받았지만 그는 “가장 싸게 양질의 부품을 납품하겠다”고 거래를 제안하는 ‘불굴의 영업맨’이었다. 적잖은 미국 기업들로 주문을 받아낼 수 있었다.
그는 1988년 또 다른 도전에 나섰다. 그는 중국 광둥성 선전에 당시 중국 최대 규모 공장을 지었다. 덩샤오핑 주도로 시작한 중국의 개혁개방이 한창 진행되던 시기였지만 대만 기업들이 적대적인 관계인 본토에 진출하는 일은 여러모로 불확실성이 컸다. 풍부한 노동력과 저임금에 베팅한 결과 폭스콘은 이후 애플, 델, IBM 등을 고객사로 둔 세계 최대 전자기기 위탁회사로 거듭날 수 있었다. 이를 발판삼아 폭스콘은 2016년 100년 역사의 일본 정보기술(IT) 기업 샤프와 노키아 브랜드를 인수하는 등 몸집을 키워 나갔다.
그는 지독한 일벌레로 유명하다. 하루 16시간 일하면서 세끼 모두 자신의 책상에서 해결하고 심야에 회의를 여는 일화나 고객 요구는 어떻게든 들어주는 그의 집요함 등은 잘 알려져 있다.
2018년 당시 미 위스콘신 폭스콘 시설을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궈타이밍 당시 폭스콘 회장.(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막말로 악명…삼성과는 악연
대만을 대표하는 부호이자 기업가인 그는 2019년 대만 국민당 총통 후보 경선에 출사표를 던졌다. 당시 그는 소셜미디어(SNS)에 ‘대만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글을 남기며 트럼프 대통령의 슬로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Make America Great Again)을 떠올리게 했다. 정계 진출을 계기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지만 그해 그의 도전은 패배로 끝났다. 2023년 총통 선거에는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중국 정부의 대대적인 폭스콘 세무조사 등으로 압박을 받으면서 전격 사퇴했다.
거친 언사도 트럼프 대통령과 닮아 있다. 수많은 일화 가운데 100만명의 지원을 ‘동물’에 비유한 것이 대표적이다. 2010년 고강도 근무 환경에 시달리던 폭스콘 공장 노동자들이 스스로 목숨을 포기하는 사태가 이어지자 궈타이밍은 당시 “인간도 동물인 만큼 100만 동물을 관리하는 건 힘든 일”이라고 말해 비난 받았다.
한국과는 악연이다. 그는 삼성전자를 상대로 “삼성은 경쟁자 등 뒤에 칼을 꽂는 소인배”라고 말한 바 있다. 2010년 훙하이 계열사가 가격담합 혐의로 삼성전자로부터 고발당해 유럽연합(EU)으로부터 막대한 과징금을 부과받자 평생 목표를 ‘삼성 타도’로 삼았다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삼성전자 반도체 파운드리 고객사였던 애플과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 대만 TSMC의 인연을 만들어 준 이는 궈타이밍이었다. 모리스 창 TSMC 창업자의 자서전에 따르면 2010년 당시 삼성과 스마트폰 시장을 놓고 경쟁 중이었던 애플은 반도체 파운드리를 삼성이 아닌 기업으로 바꾸고 싶어했다. 궈타이밍은 2010년 당시 TSMC 회장인 모리스 창에게 애플의 COO(최고운영책임자)였던 제프 윌리엄스를 소개했다. 궈타이밍은 모리스 창의 첫 번째 아내의 사촌 동생이었다. TSMC는 아직까지도 애플의 독점적인 파운드리 업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