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가계대출·주담대 잔액 증가폭/그래픽=윤선정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주춤하던 가계대출 증가폭이 새해 들어 확대됐다. 부동산 시장이 아직 냉각기를 거치고 있지만, 정치권을 중심으로 대출금리 인하 압박이 이어지고 있다. 은행권에는 가계대출 관리와 금리 인하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라는 과제가 주어졌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23일까지 가계대출 잔액은 735조8292억원으로 지난달 말보다 1조6942억원 늘었다. 전월(7963억원) 증가폭보다 2배 이상 확대됐다.
주담대 잔액은 1조4868억원 늘어나며 전월(1조4698억원)과 비슷한 수준의 증가폭을 보였다. 대신 지난달 4861억원 순감한 신용대출 잔액이 이달 1109억원 늘어났다.
5대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하반기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기조에 따라 증가폭을 줄여왔다. 지난해 8월에는 가계대출이 9조6259억원, 주담대가 8조9115억원 증가하며 역대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이후 △9월 5조6029억원, 5조9148억원 △10월 1조1141억원, 1조923억원 △11월 1조2575억원, 1조3250억원 △12월 7963억원, 1조4698억원 등 1조원을 전후로 순증했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해 12월 다섯째주부터 1월 셋째주까지 4주째 보합(0.00%)을 유지했다. 1월 셋째주 비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0.07% 떨어지며 전주(-0.05%)보다 하락폭이 커졌다.
다만 금융권에서는 정치권과 금융당국의 연이은 '대출금리 인하 압박'이 부담스럽다는 눈치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겨우 진정됐는데, 다시 부추길 우려가 있다는 뜻이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 22일 "은행들의 금리 인하 속도와 폭이 충분하지 않다"라며 "작년 기준금리가 떨어진 부분에 대해서는 이제는 대출금리에 반영돼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20일 6대 은행장(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을 만나 상생금융 지원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에 국민·하나·우리은행은 가산금리 인하를 검토 중이며, 농협은행은 가산금리 인하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신한은행과 기업은행은 각각 지난 14일, 17일부터 가산금리를 내렸다.
김도엽 기자 uson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