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업들의 경기 전망이 악화일로다. 만성적인 내수 부진에 정국 불안까지 엎친데 덮친 격이다. 전방위 경제 부진에 그야말로 좀처럼 개선될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인천 소재 기업들은 “당분간 회복은 어려울 것 같다”며 현 실정을 토로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인천상공회의소가 지역 내 업체 168개사를 대상으로 벌인 ‘2025년 경제·경영 전망’ 조사 결과를 보면, 새해에도 침체된 경기는 되살아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원자재 가격 상승, 고물가·고금리 등 여러 불안 여건이 해소되지 않은 탓이다. 여기에 미국 고환율 기조가 이어지고, 보호무역주의 정책이란 통상환경 불확실성까지 크다.
응답한 10곳 중 7곳(67.7%)은 2024년 영업이익이 목표 수준에 ‘미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 요인으로 내수 부진(59.5%)을 꼽았다. 지난해 투자 실적이 목표 대비 모자랄 것으로 절반가량이 내다봤고(10% 이상 28.6%, 10% 이내 22.4%), 영업실적 악화(51.8%) 및 경기둔화 우려(39.8%)를 그 원인이라고 들었다.
2025년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경제·사회 양극화 심화(28.3%)와 물가 변동성 확대(22.8%)를 꼽았다. 다음으로 건설·부동산 시장 위축(16.3%), 가계부채 심화(10.1%), 기업부담 입법 강화(10.1%), 내수 구조 약화(8.5%), 노사갈등 리스크(3.3%) 등을 들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가장 위협이 될 대외 리스크에는 트럼프 2기 통상정책 33.8%, 유가·원자재가 변동성 13.8%, 한국 수출·산업 경쟁력 약화 12.8%, 세계 공급망 재편·블록화 7.8% 등으로 집계됐다. 향후 예상하는 경제 회복 시기를 2026년(36.5%), 2025년 하반기(34.0%), 2027년(22.6%), 2025년 상반기(6.9%) 순으로 생각했다.
인천=강승훈 기자 shkang@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