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재판관 이념 편향성 문제 지속 제기
"문형배, '가장 왼쪽에 있다는 커밍아웃'에 이재명과 가까워"
"이미선, 동생이 윤석열 퇴진특위 부위원장, 尹탄핵 선봉장"
이미선 본인도 재산 외 진보성향 논란, 최근 고발 당하기도
與 "문형배, 이미선, 정계선은 스스로 사건을 회피해야"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왼쪽부터)과 정정미, 이미선 헌법재판관이 진ㄴ 7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나오고 있다. /사진=뉴스1화상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을 맡은 헌법재판소에 대한 편향성 우려가 고조되면서 여당에서도 본격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을 맡은 문형배 헌법재판관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과의 친분설을 비롯해 "가장 왼쪽에 서있다"고 직접 밝힌 진보성향 편향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이미선 헌법재판관의 경우, 기존 재산 논란 외에도 친동생 이상희 변호사가 '윤석열 퇴진 특별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은 것으로 드러나 일각에선 해당 재판관 기피신청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주 의원은 문형배 재판관에 대해 "이재명, 정성호 의원과 가깝고, 우리법연구회 중 가장 왼쪽에 있다는 커밍아웃을 했다"면서 "대통령은 구속된 김용현 (전 국방장관)과 접촉해 증거를 인멸할 염려가 있다고 단정하면서, 문형배 재판관과 민주당 정치인들은 접촉 가능성이 없나"라고 따졌다.
이상희 변호사는 최근 민변 윤석열 퇴진 특위 출범 및 계엄선포 관련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촉구와 내란죄 수사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이에 헌재 홈페이지 게시판에는 이미선 재판관의 동생 문제를 제기하면서, 이 재판관에 대한 기피신청 또는 자진사퇴 의견이 올라오고 있다.
이미선 재판관은 동생 논란 외에도 본인 또한 문형배 재판관과 같이 진보성향의 단체 가입 활동 이력이 있고, 이들 모두 문재인 전 대통령이 임명한 재판관들이다.
이외에도 이 재판관은 수사 중이거나 재판 중인 사건의 기록을 송부촉탁하고 기일을 일괄 지정해 헌법재판소법을 위반했다는 혐의로 추가 고발당하기도 했다.
이미선 헌법재판관(가운데)이 지난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헌법재판관 미임명 관련 권한쟁의심판 1차 공개변론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주 의원은 "정계선 재판관은 남편 황필규 변호사가 탄핵소추대리인단 김이수 변호사가 이사장으로 있는 공익인권법재단 공감에서 일한다"면서 "남편과 김이수 변호사가 같은 직장에서 마주치는 사이 아닌가"고 의문을 제기했다.
주 의원은 "헌법재판소법 제24조상 공정한 심판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 기피 또는 회피해야 한다"면서 "문형배, 이미선, 정계선 재판관은 이 정도면 본인 스스로 사건을 회피해야 맞다"고 촉구했다.
주 의원은 "이 정도 속도감이면 지금쯤 한덕수 총리 탄핵 재판도 진즉에 끝났어야 했다"면서 "이러니 편향성 논란이 가중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마은혁 후보자 까지 임명될 경우, 법원 내 극소수만 회원인 우리법·인권법연구회 출신이 헌재 구성원 8명 중 5명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헌재의 이념 편향 논란은 더욱 가중될 것이란 지적이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