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가 지난 20일 워싱턴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 행사에서 연설하고 있다. AP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저비용으로 고성능 AI 모델을 선보여 세계적인 파장을 일으킨 가운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딥시크의 저렴한 개발비용에 의문을 제기했다.
머스크는 27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에서 ‘딥시크가 밝힌 것보다 엔비디아의 비싼 최신 칩 H100을 대량 보유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은 글을 공유했다.
해당 게시물은 AI 데이터 기업 스케일AI의 알렉산더 왕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CNBC와 인터뷰한 영상과 함께 “알렉산더 왕은 딥시크가 약 5만개의 엔비디아 H100을 갖고 있는데, 미국의 수출 통제 때문에 그것에 대해 얘기할 수 없다고 한다”는 설명을 달았다.
머스크는 이 게시물에 “분명히”(Obviously)라는 댓글을 달아 이런 시각에 동의한다는 뜻을 밝혔다. 딥시크가 실제 저렴한 칩을 이용했는지를 두고 논쟁이 벌어진 가운데 머스크가 회의론에 동조한 것이다.
앞서 딥시크는 기술보고서에서 “자사의 AI 모델 V3를 훈련하는 데 엔비디아의 저렴한 칩인 ‘H800’ 2000여개를 사용했다”고 밝혀 업계에 큰 충격을 줬다. H800은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의 수출 규제를 피하기 위해 만든 중국 수출용 제품으로 성능을 낮춰 훨씬 저렴하다.
딥시크 CEO 량원펑. 딥시크 홈페이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동안 미국의 AI 선두 기업들은 수만개의 엔비디아 첨단 칩을 사용해 AI 모델을 훈련해 왔다. 이에 대해 투자회사 캔터 피츠제럴드 애널리스트들도 딥시크가 자사의 컴퓨팅 용량을 실제보다 축소해서 밝혔을 수 있다고 의심했다.
베이커는 해당 글에서 “(딥시크의) 기술 문서에 따르면 (개발 비용으로 밝힌) 6백만달러(약 86억원)에는 ‘아키텍처, 알고리즘, 데이터에 대한 이전 연구와 실험에 관련된 비용들’이 포함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딥시크는 분명히 H800보다 더 많은 것을 갖고 있다”고 추측했다. 또 “엔비디아의 매출 중 약 20%가 싱가포르를 통해 이뤄지는데, 엔비디아의 GPU 중 20%는 아마도 싱가포르에 있지 않을 것”이라며 엔비디아의 첨단 칩이 규제망을 피해 중국 AI 기업에 들어갔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김지예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