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와 달리 연령대별 다른 금액 제시
구체적인 상황과 한국 문화 이해한 답변
"세뱃돈 용도 말하면서 주면 더 좋다" 조언도
생성형 AI 발전 속도 빨라지며 고도화된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앱)을 사용하는 시간이 1년 전 대비 8배 이상 증가하는 등 일상 속 고민들에 AI를 활용하는 이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동시에 생성형 AI 역시 빠르게 발전하면서 1년 전과는 전혀 다른 수준의 대화가 가능해졌다. 적정 수준의 세뱃돈은 얼마일까, 고민이 깊어지는 가운데 2024년 설날처럼 챗GPT에 알맞은 세뱃돈 금액을 물어본 결과 1년 전 대비 훨씬 고도화된 답변을 제시해줬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다만 올해는 연령대별로 적정 금액 수준을 제시하는 등 답변이 1년 전 대비 꽤나 업그레이드 됐다. 챗GPT는 △유치원 이하(3~7세)는 최대 2만 원 △초등학생(8~13세)은 최대 5만 원 △중학생(14~16세)은 최대 7만 원 △고등학생(17~19세)은 최대 10만 원을 기준으로 제시했으며, 대학생 이상의 경우 ‘조금 더 의미 있는 금액’을 추천했다. 이와 함께 챗GPT는 세뱃돈을 줄 때 △가족 간 분위기 △조카의 나이 △조카의 수에 따른 현실적인 주머니 사정 △경제적 요건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챗GPT에 추가 질문을 했을 때도 지난해 대비 이용자의 질문 의도를 더 이해한 듯한 답변을 제시했다. 챗GPT에 “또 다른 조카는 대학생인데, ‘조금 의미 있는 금액’은 얼마야?”라고 물었을 때 “학업이나 생활비에 보탬이 될 정도의 금액”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10만 원은 가장 흔하고 적당한 금액, 20만 원은 가족 분위기가 후한 편일 때, 5~7만 원은 부담을 덜면서도 상징적으로 주고 싶을 때라며 금액별로 의미를 나눠 제시하기도 했다.
챗GPT는 물어본 부분 외에도 이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도 함께 제시했는데, 세뱃돈의 용도를 이야기하면서 주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학기 시작 전에 책 사는 데 보태”라고 독려하면서 세뱃돈을 줄 경우 금액의 의미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대비 한국 문화를 더 이해하고 제시한 답변처럼 느껴졌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멀지 않은 미래에는 생성형 AI가 이용자의 조언자 뿐만 아니라 친구, 애인, 가족과 같은 역할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올해 오픈AI를 비롯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빅테크들이 AI 에이전트(비서)의 본격적인 서비스 고도화에 나서고 있어 영화 ‘그녀(HER)’에서처럼 일상을 AI와 함께 하는 모습도 현실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빅테크들이 AI를 업데이트하는 주기가 1년에서 6개월로, 반 년에서 3개월로 점차 줄어들고 있다”며 “그만큼 생성형 AI의 발전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뜻인데, 점차 AI 에이전트에 일상을 맡기는 모습도 보편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지혜 기자 hoje@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