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국립연구원 분석…"김정은 큰 걱정거리 완화"
"현대 드론전 등 체험…인민군 사상 최고 기술 배우는중"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우크라이나를 침공 중인 러시아에 북한이 자국군을 파병한 것은 덩치는 크지만 낙후한 조선인민군을 '업그레이드'하려는 목적이 커 보인다는 우크라이나 전문가의 분석이 나왔다.
우크라이나 국립전략연구소의 알리나 흐리첸코 애널리스트는 23일(현지시간) 미국 싱크탱크 애틀랜틱카운슬에 보낸 기고문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현시점에서 북한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참여한 것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제국주의적 야망을 지지하는 것보다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군수체계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어 "북한은 현역병만 130만명인 세계 최대 군대 중 하나를 자랑하지만 오랫동안 대규모 전쟁에 직접 관여한 적이 없다. 이런 전장 경험 부족은 기술적으로 앞선 한국군에 대응하려는 독재자 김정은에게 큰 걱정거리가 돼 왔다"고 짚었다.
그런 만큼 북한 입장에선 러시아 파병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적지 않다는 게 흐리첸코 애널리스트의 분석이다.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북한군 [젤렌스키 엑스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
그는 "러시아 파병은 조선인민군 전쟁사상 가장 기술적으로 진보한 것으로 여겨지는 전장 환경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했다"면서 "북한군 병사들은 현대 드론 전쟁의 현실을 직접 배우고 있다"고 말했다.
또, 병력 제공의 대가로 러시아에서 재정적 인센티브를 받기도 했지만 "진짜 보상은 러시아의 첨단 군사기술에 대한 접근"이라면서 러시아가 대공 체계와 잠수함, 미사일 등 여러 분야에서 북한의 군사력 강화를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흐리첸코 애널리스트는 "북한에 우크라이나 전선은 무기의 효과를 평가하는 귀중한 시험장 역할을 할 것이며, 이를 통해 북한은 자국 무기 산업의 질을 개선하고 향후 생산품을 현대전 실상에 맞게 고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보기도 했다.
hwangch@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