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건 기소, 29건 유죄 선고
“원청 대표에만 중형 불합리”
“원청 대표에만 중형 불합리”
한국경영자총협회 사옥.한국경영자총협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대재해처벌법이 오늘 27일 시행 3주년을 맞는 가운데 한국경영자총협회는 “불명확성과 모호성으로 법 적용 및 해석에 많은 논란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중대재해처벌법 판결이 인과관계의 인정 범위를 지나치게 확대해 해석하고 있어 빠른 시일 내에 법령개정 추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경총은 23일 이같은 내용의 ‘중대재해처벌법 판결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경총에 따르면 2022년 1월 27일 법 시행 이후 검찰은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중 총 31건을 기소했고, 이들 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이 내려진 상태다. 이 중 유죄 선고는 총 29건, 무죄는 2건이다. 실형 선고가 내려진 이유로는 유사 사고 전력, 동종전과, 안전점검 지적사항 방치 등이 꼽혔다. 형량은 대표이사에게 징역 1년에서 2년을 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 별로는 총 31건 중 16건이 건설업에서 발생했으며, 제조업이 12건으로 뒤를 이었다.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이 27건, 중견기업 4건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대기업에 대한 판결은 없었다.
하청근로자 사망사건을 다룬 중대재해처벌법 판결문 14건을 경총이 분석한 결과, 모두 하청근로자에 대한 모든 안전 및 보건조치를 원청이 해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다는 게 경총의 주장이다. 경총은 “원청과 하청의 지위와 역할을 제대로 구분하지 않았다”며 “법원이 원청대표에게만 무거운 형벌을 적용하고 하청 대표에 대해서는 형벌 수준이 더 낮은 산업안전보건법 등을 적용하고 있어 형평성 원칙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