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시간 22일 뉴욕타임스(NYT)는 북한군과 직접 전투를 한 우크라이나군 병사와 지휘관, 복수의 미 국방부 당국자와 군사 전문가들을 인용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전투 양상을 이같이 분석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탈환전에 나선 러시아 쿠르스크 전선에 파병된 북한 군인들은 러시아군에 앞장서서 위험 지역에 투입돼 땅을 확보해 나가는 '인간 방패막'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북한 군인들은 그날 자신들이 공격해야 할 지역을 할당받은 뒤 전투 차량의 엄호 없이 사실상 맨몸으로 공격에 나선다는 것입니다.
약 40여 명 단위의 부대로 움직이며 매서운 포화가 쏟아지고 지뢰가 깔린 들판도 그대로 가로질러 앞으로 나아간다는 것입니다.
러시아군과 북한군 모두를 상대해 본 우크라이나 군인과 군사 전문가들은 이러한 북한군의 전투 방식과 성향은 러시아군과 완전히 다르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셀레스트 A.월랜더 전직 미 국방부 국제 안보 담당 차관보는 러시아군과 북한군은 훈련 방식과 군대 문화 등에서 완전히 다른 두 부대라면서 사실 그간 러시아군은 규모에 비해 전투 능력이나 규율에 있어서는 높은 평가를 받는 부대는 아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달리 정밀 타격 임무를 위해 훈련받은 특수부대원인 러시아 파병 북한 군인들은 특유의 강한 동기 부여와 규율에 따르며 부상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거의 없이 임무에 충실하다는 것입니다.
이들은 이동 과정에서 상당수가 죽거나 다쳤지만 멈추지 않고 계속 전진했으며, 지원군을 기다린 뒤 5∼8명의 공격 그룹을 선두로 우크라이나군 기지를 공격했습니다.
우크라이나군 사령관 안드리는 이들이 이 과정에서 많은 사상자를 냈지만 멈추지 않고 새 부대를 보낸다면서 "그들은 단지 전진, 전진뿐"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그들을 규정하는 것은 "동기 부여와 명령, 엄격한 규율"이라고도 덧붙였습니다.
우크라이나군이 숨진 북한군의 시신에서 회수했다고 밝힌 수첩 내용에 따르면 이들은 병사 한 명이 나서서 드론을 유인하다가 멈춰 서면 인근에 있던 다른 병사가 드론을 격추하는 식의 '미끼 전략'으로 드론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북한군은 이러한 전략으로 많은 사상자를 내면서 높은 대가를 치르고 있지만, 이러한 희생조차도 현대전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비용으로 여길 것이라는 게 우크라이나군의 평가입니다.
우크라이나와 미 당국자들은 지난해 12월 초 북한 군인들이 전투에 투입된 이후로 파병된 1만1천여 명 중 약 3분의 1이 죽거나 다쳤을 것이라면서 그 피해는 계속 늘고 있다고 NYT에 말했습니다.
우크라이나 군 최고 사령관인 올렉산드르 시르스키는 NYT에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중 절반 가까이가 죽거나 다쳤을 것이라면서도 이들이 "매우 의욕이 넘치고 잘 훈련됐으며 용감한" 병사들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북한군의 '무조건 전진' 전략이 많은 희생을 내면서도 전쟁터에서 효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우크라이나군 지휘관 올렉시는 북한 군인들이 "방어가 취약한 지역을 목표로 우리 부대를 지치게 하면서 최전선을 밀어내기 시작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북한군이 점점 더 우크라이나전에 자신들의 방식대로 적응하고 있다면서 이들이 전투 경험이 쌓임에 따라 "매우 강해지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