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기준 상수도 유수율 54.2%
전국 평균 86% 크게 밑돌아
제주의 한 거리에서 이뤄지는 상수도관 교체 공사 모습. 제주도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주도가 생산하는 수돗물의 절반 가까이가 사용되지 못한 채 누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수율을 올리기 위한 노후관 교체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더딘 속도로 진행되면서 유수율 85% 달성은 기존 2027년에서 2035년으로 미뤄졌다.
제주도는 2023년 기준 제주지역 상수도 유수율은 54.2%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전국 평균 86%와 비교했을 때 크게 낮은 수치다. 유수율은 정수장에서 생산된 물이 각 가정으로 배달돼 요금수입으로 집계되는 수량의 비율을 뜻한다. 제주에서 상수도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절반 가까이가 지하에 스며들거나 버려진다는 의미다.
제주의 유수율이 낮은 이유는 노후관이나 누수관에 대한 관리와 교체가 제때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 제주도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유수율을 실제보다 31.3%에서 32.9%까지 높게 거짓으로 책정해 발표했다. 2009년 제주도의 상수도 유수율은 45.4%였지만 76.7%로 환경부에 거짓 보고하고 통계를 관리하는 식이었다. 거짓 통계를 바탕으로 수자원관리계획이나 사업계획이 수립되면서 제대로 된 유수율 제고사업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같은 사실은 2015년에 들통났고, 감사와 통계조정이 이뤄졌다.
이후 제주도는 2016년 45.7%에 불과한 유수율을 2025년 85%까지 끌어오리는 것을 목표로 유수율 종합대책을 수립했지만 예산 확보 등의 문제로 더딘 걸음을 하고 있다. 목표시점을 2027년으로 한차례 더 조정하기도 했다.
당초 2027년 유수율 85% 달성서 2035년으로 재설정
새로 수립한 중장기 계획에 따르면 제주도는 오는 2035년까지 1조3612억원을 투입해 노후한 배수관과 급수관 1777㎞를 교체한다. 도농 복합지역의 특성을 감안해 목표 유수율도 동 지역은 85~95%, 읍면지역은 70~90%로 지역에 따라 차등 설정했다. 기존 ‘누수방지과’를 ‘유수율 향상 추진단’으로 격상하고 인원도 7명에서 17명으로 확대한다.
제주도는 사업을 완료해 목표 유수율 85%를 달성하면 연간 약 640억원의 상수도 생산원가 절감과 1만1500t의 탄소배출량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좌재봉 제주도 상하수도본부장은 “제주지역의 유수율은 2015년 44.5%에서 2023년 54.2%로 개선됐으나 전국 평균과 비교하면 개선의 여지가 많은 상황”이라면서 “체계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중앙정부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국비 확보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