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2.21 (금)

이슈 불붙는 OTT 시장

포화상태 접어든 국내 OTT, 경쟁업체와 합종연횡 가속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티빙, ‘애플TV플러스’와 협력으로… 프리미엄 고객 비중 20배 이상 증가

넷플릭스, SBS서 콘텐츠 공급 받고… 디즈니플러스는 MBC서 ‘무빙’ 방영

티빙-웨이브 합병도 속도 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포화 상태에 접어든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계가 ‘공존’으로 활로 찾기에 나섰다. 지상파 또는 OTT 간 협력으로 콘텐츠 경쟁력을 높이고 합병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만드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토종 OTT 티빙이 지난해 12월 10일 ‘애플TV플러스 브랜드관’을 출시한 이후 티빙 전체 고객 가운데 프리미엄 요금제(월 구독료 1만7000원)를 이용하는 고객의 비중이 전날인 9일 대비 20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티빙은 지난해 12월부터 애플TV플러스와 독점 계약을 맺고 프리미엄 요금제 이용자들이 ‘파친코’, ‘테드 래소’ 등 애플TV플러스 인기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했다. 처음 브랜드관을 출시할 당시만 해도 이미 국내에서 자체 플랫폼을 갖고 있는 경쟁 OTT와 협력하는 것에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 그러나 이런 전략이 성과를 내면서 앞으로 포화 상태인 OTT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합종연횡’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OTT시장은 포화 상태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전국 13세 이상 남녀 83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 방송매체 이용 행태 조사’에 따르면 국내 OTT 이용률은 8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72.0%, 2023년 77.0%에서 지난해 79.2%까지 오르는 등 국민 10명 중 8명이 이미 OTT를 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OTT 기업들이 라이벌 기업과도 협력하면서 수익성 확보에 나서고 있다. 최근엔 글로벌 OTT 업체와 국내 방송사 간 협력이 속도를 내고 있다. 넷플릭스는 지난해 12월 20일 지상파 방송 SBS와 향후 6년간 콘텐츠 공급을 받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지난해 9월 말 토종 OTT 웨이브와 지상파 3사가 맺은 독점 공급계약이 만료된 틈에 협력이 성사된 것이다.

넷플릭스는 이를 통해 ‘런닝맨’ 등의 예능부터 ‘모래시계’, ‘스토브리그’ 등 드라마까지 SBS 콘텐츠를 확보하게 됐다. 디즈니플러스는 지상파 방송 MBC와 손잡고 오리지널 콘텐츠 ‘무빙’을 지난해 12월 22일부터 MBC에서 방영하고 있다.

멤버십과 광고형 요금제 혜택도 늘리고 있다. 티빙은 이달 31일까지 티빙을 구독하거나 구독을 예약하면 모든 이용권을 최대 3개월간 50% 할인가로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다. 넷플릭스는 네이버와 제휴를 맺고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콘텐츠 혜택으로 광고형 요금제를 무료로 제공한다.

넷플릭스를 추격하기 위한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11월 두 OTT의 모회사가 웨이브에 2500억 원을 투자한 데 이어 티빙 모회사인 CJ ENM이 이양기 전 티빙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웨이브 CFO로 파견하면서 합병을 위한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 한정훈 K엔터테크허브 대표는 “시장이 포화되고 성장세가 둔화되며 수익과 효율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OTT 업계가 재편되고 있다”고 말했다.

남혜정 기자 namduck2@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