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19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발언하고 있다. 대한상의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수출 주도형 경제모델이 과거처럼 작동하기 어렵다. 일본과 연대하고, 소프트웨어 수출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2기’ 출범을 맞은 한국의 과제를 언급하면서다.
최 회장은 19일 KBS 시사 대담 프로그램 ‘일요진단’에 출연해 현재 상황을 두고 “무역질서가 세계무역기구(WTO)를 중심으로 한 ‘다자주의’에서 일대일 ‘양자주의’ 체제로 바뀌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세계 경제 질서가 바뀌는 것은 씨름에서 수영으로 경기 종목과 룰이 바뀌는 것과 같다”며 “지금까지 씨름을 잘해왔던 선수라도 (씨름 방식으로) 수영에서 경쟁하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비유했다.
그는 “수십년간 활용한 수출 주도형 경제모델이 현재 무역질서에서 과거처럼 작동하기 어렵다”며 “우리 스스로 수출 주도 경제모델의 ‘룰 세팅(rule setting)’을 다시 해야 한다”고 말했다. 피나는 노력을 통해 수영 선수로 탈바꿈하거나, 최소한 물속에서 씨름하자고 목소리를 내는 등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취지다.
한국의 1순위 과제로는 ‘글로벌 경제 연대’를 꼽았다. 최 회장은 “지금 세계 경제의 룰을 결정하는 나라는 1위 미국, 2위 중국, 3위 EU(유럽연합) 경제블록 정도”라며 “우리 혼자서는 국제 질서의 룰을 바꿀 힘이 부족하다. 함께 연대할 파트너와 추구해야 할 방향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도체·자동차가 대표하는 기존 하드웨어 중심 수출 사고에서 벗어날 것도 주문했다. 그는 “통상 압박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문화 상품을 좀 더 체계적으로 만들어 판매할 필요가 있다”며 “만약 한식을 (제품뿐 아니라) 요리법, 먹는 방식, 식기류나 부엌의 구조, 요리사에 대한 훈련 등까지 지금보다 더 체계적으로 세계화한다면 우리가 얻을 부가가치가 훨씬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