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은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별도 조처가 없으면 19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내 서비스가 중단될 것이라고 밝혔다.
틱톡은 17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X 성명을 통해 "오늘 바이든 백악관과 법무부가 발표한 성명은 1억7000만명 이상의 미국인 틱톡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수적인 서비스 제공업체에 필요한 명확성과 확신을 제공하지 못했다"며 "바이든 행정부가 즉시 비구속적 이행 보장을 약속하는 명확한 성명을 제공하지 않는 한 안타깝게도 틱톡은 19일 (미국의) 서비스를 중단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이날 틱톡의 성명은 미국 연방대법원이 오는 19일 시행 예정인 '틱톡금지법'에 대해 합헌 결정을 내린 이후 나왔다. '틱톡금지법'은 틱톡이 미국에서 수집한 개인정보를 중국 당국과 공유해 미국의 국가안보를 위협한다며 틱톡의 미국 사업부를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서비스를 금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법에 따라 구글, 애플 등 앱을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틱톡의 배포 등을 지원하면 막대한 벌금을 물게 된다.
/사진=틱톡 X 계정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일 취임을 앞둔 트럼프 당선인은 트루스소셜을 통해 "대법원의 판결은 예상했던 것이고 존중돼야 한다"면서도 "틱톡에 대한 내 결정은 머지않은 미래에 내려질 것이다. 다만 상황을 검토할 시간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미국 내 틱톡 사용 금지가 미국인에게 주는 피해가 상당하다며 취임 후 60~90일 동안 '틱톡금지법' 시행을 중단하는 행정명령을 고려하고 있다.
한편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14일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고위 관리들이 틱톡 문제 해결책으로 트럼프 당선인의 최측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게 틱톡의 미국 사업부를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고 보도했다. 머스크 CEO는 SNS 플랫폼 X를 보유하고 있다. 틱톡은 즉각 이를 부인했다. 하지만 테슬라 전문 분석가인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증권 분석가는 투자 메모를 통해 " 우리는 머스크가 틱톡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데 깊이 관여해 궁극적으로 틱톡 인수를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전했다.
정혜인 기자 chimt@mt.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