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명문 MBA, 졸업 3개월 후 구직자 비중 2년새 2배로"
하버드대 졸업식 |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미국 내 고연봉 화이트칼라 전문직에 대한 고용 수요가 줄면서 하버드대 경영대학원(MBA) 졸업생들조차 마음에 드는 직장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2024년 봄 하버드 경영대학원을 졸업한 구직자 중 3개월이 지나도록 여전히 구직활동을 하는 졸업생 비중은 23%로, 한 해 전의 20% 대비 3%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2년만 해도 이 비중은 10%에 불과했다고 WSJ은 대학 측 통계를 인용해 전했다.
명문 경영대학원에서 공부한 졸업생이 마음에 드는 직장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은 비단 하버드뿐만이 아니라고 WSJ은 전했다.
WSJ은 각 대학원 자료를 종합한 결과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2024년 최고 등급 경영대학원 졸업생이 졸업 3개월 후 직장을 구하지 못하는 비중이 2022년 대비 2배 수준으로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명문 경영대학원 졸업생조차 취업문이 좁아진 것은 이들을 주로 채용하던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거대 IT 기업)는 물론 컨설팅 회사 등이 명문 경영대학원 졸업자 채용을 줄이고 있기 때문이란 게 대학원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버지니아대 다든 경영대학원 경력센터의 제니 제너 선임 디렉터는 기업들이 채용 방식을 바꾸고 있다며 "기업들이 이제 더는 캠퍼스로 오지 않겠다고 말한다"라고 전했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경우 네트워킹 방법과 자신의 역량을 알리는 방법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 4일 과정의 집중 취업준비 강좌를 개설하기도 했다고 WSJ은 소개했다.
pa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