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국방부 장관으로 지명한 피트 헤그세스(44·사진)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호칭했다. 아시아의 핵심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멤버라고 했다.
트럼프가 성폭행과 과도한 음주 의혹, 여성 차별 발언에도 불구하고 육군 소령 출신의 40대 ‘충성파’ 방송앵커에게 세계 최강의 미군을 통째로 맡기면서 불거졌던 ‘아마추어 국방장관’ 임명에 따른 우려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헤그세스는 14일(현지시간) 미 상원 군사위원회에서 열린 청문회에서 “북한의 핵보유국(nuclear power) 지위, 핵탄두를 운반할 수 있는 미사일 사거리 증가에 대한 집중, 증가하는 사이버 역량은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 나아가 전 세계 안정에 위협을 가한다”고 말했다.
그가 사용한 표현은 핵무기 보유가 공인된 5개국(미·중·러·영·프)을 뜻하는 ‘핵무기 국가(nuclear weapon state)’와 달리, 인도·파키스탄·이스라엘 등 공인받진 못했지만 실질적으로 핵무기를 확보한 나라를 지칭할 때 사용하는 용어다. 만약 헤그세스가 이를 알고 사용했다면, 트럼프 2기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요구해왔던 ‘핵보유국 인정’을 수용할 수 있단 의미가 된다. 이를 전제로 북한과의 대화가 재개될 경우, 대화 목표는 비핵화에서 핵동결 또는 감축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 외교부는 당황한 기색이다. 청문회 직후 외교부는 “북한의 비핵화는 한·미와 국제사회가 일관되게 견지해온 원칙으로, 북한은 절대 핵보유국 지위를 가질 수 없다”는 공식 입장을 냈다. 그러나 트럼프가 북한과 직거래를 할 경우 한국이 난처해질 가능성이 크다. 엿새 뒤 물러날 조 바이든 정부의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국가안보소통보좌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비핵화에 대한 정책은 변하지 않았다”면서도 “(북·미 대화는) 트럼프 당선인에게 달린 문제”라며 답답한 상황을 토로했다.
상원의원 100석 중 공화당은 53석을 확보하고 있다. 청문회를 마친 헤그세스는 주먹을 불끈 쥐어 보이며 아무 말 없이 청문회장을 떠났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thkang@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