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연구소(소장 정희수)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대한민국 금융소비자 보고서 2025'를 발간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최근 3년간 금융소비자의 금융거래 변화를 추적하고 시의적 이슈에 대한 의견을 점검하며 결혼·출산·노후 준비 여부에 따른 금융니즈 차이를 분석하는 등 분석 범위를 확대했다. 설문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20세~64세 금융소비자 5000명(95% 신뢰 수준에서 1.4%포인트(p))로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진행됐다.
하나은행 본점 [사진=하나은행]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조사에 따르면 미혼 중 결혼 의향자(27%)보다 비 의향자(33%)가 더 많은데 비혼을 선택한 이유는 개인적 가치관보다 경제적 여건 때문이었다. 최근 3년 내 결혼한 신혼부부는 결혼 비용으로 약 2억원을 썼고, 결혼 예정자는 2억3000만원 가량을 예상하고 있었다. 신혼부부의 과반은 대출로 결혼자금을 충당했고, 결혼 예정자는 더 많은 대출을 고려해 결혼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은 더욱 커졌다.
결혼의향자는 주택 자금 및 투자 종잣돈 마련 등 목적형 저축 의향이 높고 적금뿐 아니라 주식, ETF 등 직접투자에 더 적극적이었다. 비혼자는 노후 대비가 우선 관심사였고 보험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했다. 또 여가와 취미, 재미를 위해 더 적극적으로 저축하는 모습을 보였다.
노후에 활용할 자산의 유형을 보면 노후 준비가 충분한 경우 상대적으로 부동산과 투자상품, 개인연금 활용 의향이 높았지만 반대인 경우에는 국민연금이 절대적이었고 퇴직연금과 주택연금의 의존도가 더 높았다. 현재 금융자산 운용 시 노후 대비용 저축을 별도로 마련하고 개인연금을 미리 준비해야 함을 시사하는 결과다. 은퇴시점이 가까워질수록 유동자산 비중을 높이고, 자산이전을 계획하는 것도 안정적 노후를 위해 필요한 조치로 확인됐다.
당시 평균 금융자산은 9000만원에서 정체됐지만 엔데믹 후 2024년 금융자산은 1억원을 넘었고 투자상품 비중은 25%(2022년)에서 31%까지 늘었다. 올해에는 더욱 적극적이고 새로운 금융거래를 계획하며 예적금뿐만 아니라 실속 있는 투자상품과 해외 금융상품 가입에 높은 의향을 보였다. 국내주식보다 해외주식을 선호했고, 가상자산 투자는 5% 미만이긴 하나 2023년보다 신규 거래할 의향이 2배 이상 늘었다.
금융거래 시 10명 중 9명은 모바일 채널을 이용했다. 반면 영업점 이용률은 최근 3년간 지속 감소하며 31%에 그쳤다. 자동화기기 이용률 또한 2022년(62%)부터 2024년(48%)까지 지속 감소했다. 디지털기술 발전에 따라 영업점이 필요하다는 응답(28%)보다 디지털 채널로 대체 가능하다는 응답(34%)이 우세하지만 금융거래 시 겪는 애로사항을 보면 '점포‧직원 수 감소로 인한 불편'이 2022년 6위에서 2024년 3위로 급상승했다.
영업점 이용자 중 1/3은 월 1회 이상 점포를 자주 방문하는데, 해당 비율은 늘고 가끔 방문(6개월에 1~2회)하는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포를 대체하는 디지털 채널에 수용도가 높지만 영업점 이용 시 그 의존도는 더욱 높아진 모습이다. 점포 방문 빈도를 결정하는 가장 주된 원인은 '거래 현황 확인'의 단순 목적이었으나 해당 활동은 금융거래의 신뢰를 높이고 추가 혜택을 기대하는 등 '숨은 금융니즈'가 있었다.
시중은행 간 경쟁력에 차이가 있냐는 질문에 약간 있거나(45%) 거의 없다(42%)는 응답이 90%에 가까울 만큼 은행 간 서비스는 균질화 됐지만 금융소비자는 여전히 조금 더 나은 조건을 위해 적극적으로 은행을 전환했다. 하지만 주거래은행 한 곳에 금융자산의 53~54%를 예치하는 비중은 유지돼 주거래은행의 위상은 여전히 독보적이었다.
윤선영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최근 3년간 금융소비자는 급변하는 금융환경에 적응하면서도 본인에게 최적화된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금융거래의 특징이 일관되지 않는다는 점이 확인됐다"며 "금융 회사 간 차별성이 약해지며 경쟁이 심화하는 상황이므로 고객의 사소한 행동과 의견 하나하나에 내포된 의미를 적극 이해하려는 노력이 더욱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jane94@newspim.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