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14일 오전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관련 첫 현안 질의가 열리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 시작에 앞서 참석자들이 희생자를 애도하는 묵념을 하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은 오늘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관련 현안 질의를 열고 관계 당국과 제주항공에 철저한 사고원인 규명과 재발방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은 질의에서 제주항공의 정비인력이 국토부 권고기준인 '항공기 1대당 12명'에 못 미치는 7.5명에 불과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정비할 시간은 없고, 정비사는 부족한 사이에 승객 안전이 아닌 수익 극대화가 최우선이 되면서 결국 이 참사를 부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손명수 의원은 2016년 인천국제공항에서 미국 물류운송업체 UPS 항공기가 '오버런'(착륙 시 활주로 종단을 넘어가는 것)으로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을 들이받는 사고를 냈으나 로컬라이저가 쉽게 부러지는 재질로 제작돼 인명 피해가 없었던 점을 지적하며, 시설 기준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민주당 박용갑 의원은 미국, 유럽 등지에서는 조류퇴치용 레이저·열화상 카메라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총포류를 이용한 폭음 등 낙후된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며 "항공 선진국을 자부한다면 15개 공항에 전부 의무적으로 레이저 등 첨단 장비를 설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날 현안 질의에는 박한신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가족협의회 대표 등 유가족들이 참석해 공정·투명한 사고 조사와 유가족의 조사 참여 보장 등을 요구했습니다.
국민의힘 권영진 의원은 "현장 수습 과정에서 소중했던 것은 유가족들의 인내와 절제였다"며 "국회도 맹성규 국토위원장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여러분 편에 서겠다"고 유족들을 위로했습니다.
민주당 문진석 의원은 "가짜뉴스로 유가족분들이 고통받고 있다"며 "피해자들이 2차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최승훈 기자 noisycart@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