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10 (금)

[2025 위기극복] “본업 경쟁력 강화·변화만이 살길” 글로벌 새판 짜는 유통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글로벌 경제 위기와 정치적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새해가 밝았다. 급변하는 글로벌 패권 경쟁, 국내 규제 변화, 기술 혁신의 흐름 속에서 각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이 구체화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신기술과 시장 변화에 대응한 전략적 전환을 통해 산업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하는 것이 대한민국에 숙제로 다가오고 있다. <디지털데일리>는 신년 기획을 통해 대한민국이 미래의 불확실성을 돌파하고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실질적 해법을 제시하고자 한다.<편집자>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왕진화 기자] 나날이 높아지는 원·달러 환율, 트럼프 2기 출범, 대내외적인 정치·경제 리스크 등으로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역대 최대 복합적 불확실성이 다시 한 번 도래했다. 최근 한국경제인협회가 실시한 ‘2025년 소비 지출 계획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가계 소비지출은 전년대비 평균 1.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응답자 53%는 ‘2025년 소비지출을 더 축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최근 고물가에 따른 소비 부담이 지속되는 한편, 가계부채의 급증, 고금리 등 지갑을 선뜻 열기 어려운 환경이 만들어지면서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된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응답자 44%는 소비 지출 축소 이유로 ‘고물가 지속’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또한, 국민 대다수(75.7%)는 소비가 오는 2026년 이후에 다시 활성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에 반해 부정적인 전망도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 소비가 활성화될지 ‘기약이 없다’는 응답이 35.1%로 나타난 것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해 12월 소매유통업체 300개사를 대상으로 시행한 ‘2025년 유통산업 전망조사’에서도 대형마트와 백화점은 성장률이 1%에도 못 미쳤다. 각각 0.9%, 0.3%에 그친 것이다. 편의점(-0.3%)과 슈퍼마켓(-0.7%)은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소비자 지갑을 열게 하기 위해서라도 내부 변화와 쇄신은 유통업계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다. 이러한 가운데 유통업계 수장들은 을사년 신년사 키워드로 ‘위기’와 ‘쇄신’을 공통적으로 꺼내들었다. 소비침체가 장기화하고 글로벌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등 엄중한 분위기가 끊임없이 감지되고 있지만, 임직원들에게 변화와 혁신을 주문한 것이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은 “2025년은 우리의 본업에 대해 집요하게 고민하고 실행해야 할 때”라며 “고물가와 불경기 등으로 시장 상황이 나쁘지만 이럴 때도 기업은 도전하고 성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경쟁자를 압도할 수 있는 ‘본업 경쟁력’에서 답을 찾자는 게 핵심이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체질 개선을 통한 재도약 토대 구축과 함께 그룹 핵심사업의 경쟁력 회복을 위한 강도 높은 쇄신이 필요하다”며 “체질 개선을 통해 재도약의 토대를 다져야 한다”며, “재무전략을 선제적으로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무건전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개개인의 업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불필요한 업무나 효율성을 저해하는 사항들이 없는지 돌아보고, 선도적 지위 회복을 위한 기반 조성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도 주문했다.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도 “각 사 대표이사와 임원은 미래성장을 준비하는 것이 가장 큰 책무임을 다시 한번 인식하고, 다양한 의견수렴과 신속한 판단을 바탕으로 신규사업을 주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경영층의 적극적인 리딩이 있어야 전략 추진의 속도가 올라가고 멀게만 보였던 비전목표를 현실에서 마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 곳은 위기 극복을 위해 내수 시장에만 의존하지 않고, 글로벌 문도 적극적으로 두들긴다. 예컨대 롯데쇼핑은 지난해 10월 공시를 통해 중장기 가이던스로 2030년 매출액 20조3000억원, 영업이익 1조3000억원을 제시한 바 있다. 이 중 해외사업 매출액을 3조원까지 끌어 올리겠다는 목표도 공개했다.

차세대 핵심 사업으로 해외 시장을 점찍은 롯데는 복합 쇼핑몰 ‘타임빌라스(TIMEVILLAS)’를 통해 무대를 넓힐 계획이다. 타임빌라스는 롯데백화점이 주력하는 새 쇼핑몰 브랜드로 지난해 10월 수원점에 첫 간판을 달았다. 롯데쇼핑은 오는 2030년까지 7조원을 투자해 국내 타임빌라스 점포 수를 13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세계는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영위하고 있는 도소매업에서 코스메틱 브랜드 ‘어뮤즈’, ‘스위스 퍼펙션’, ‘연작’ 및 컨템포러리 패션 브랜드 ‘할리데이비슨 컬렉션스’ 등의 해외 진출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이마트는 동남아시아에서 3개의 이마트 매장이 있는 베트남에 이어 라오스를 해외 전략 거점으로 낙점하고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는 중이다.

이마트는 국내 대형마트 최초로 지난해 2월 라오스 유통시장에 진출했다. 같은 해 12월 자체 브랜드(PB) 노브랜드는 수도 비엔티안에 첫 점포를 열었다. 신세계그룹은 10년 안에 라오스에 이마트 20개 점과 노브랜드 70개 점 운영을 목표로 사업을 지속해 확대할 계획이다.

현대백화점은 더현대 서울의 성공 노하우를 수출하는 데 전념한다. 일례로 지난해 3월 현대백화점은 태국 대표 리테일그룹인 시암 피왓 그룹과 손잡고 방콕 대형 쇼핑몰 내 ‘K콘텐츠 전문관’을 선보이고, MZ세대를 사로잡은 독창적인 매장 운영 방식 전수에 나선 바 있다. 일본, 중국 등 글로벌 리테일 기업에서도 K콘텐츠 전문관 운영에 대한 러브콜에 대응할 방침이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