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징검다리 연휴(국군의 날 임시공휴일, 개천절)를 하루 앞둔 30일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에서 여행객들이 항공기에 탑승하기 위해 수속을 밟고 있다. 2024.09.30. [서울=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와 국민의힘이 어제 당정 협의를 통해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연휴는 25일부터 30일까지 엿새로 늘어나고, 31일 하루 휴가를 내면 최장 9일을 쉴 수 있게 된다. 당정은 소비 진작과 교통량 분산에 도움이 될 거라고 했다. 하지만 인건비는 인건비대로 나가고, 매출은 오히려 감소하는 자영업자·중소기업은 한숨을 쉰다.
당정의 임시 공휴일 지정은 비상계엄·탄핵 사태와 무안 제주항공 참사 등으로 꽁꽁 얼어붙은 소비 심리에 군불을 때겠다는 의도라고 한다. 문제는 소비 확대 효과가 나타나길 막연히 기대하며 장기 연휴를 즐겨도 될 만큼 우리 경제가 처한 현실이 녹록지 않다는 점이다.
고물가·고금리가 이어진 지난 몇 년 새 임시 공휴일에는 관광지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국 상권에서 자영업 매출이 축소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올해는 최저임금까지 시간당 1만30원으로 1만 원 선을 넘겼다. 평일의 1.5배인 휴일 근로수당을 직원에게 주고도 매출이 감소한 자영업자들 사이에서 “공휴일 지정으로 장사 망쳤다”는 말이 나온다. 일손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휴일이 늘 때마다 생산 차질이 생긴다. 게다가 청년층에선 경제적으로 쪼들리더라도 연휴 때 무리해서 해외여행을 떠나는 소비 패턴이 자리 잡았다. 자칫 씀씀이가 해외에서만 늘고, 국내 소비는 ‘공동화’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트럼프 리스크’로 인한 수출 감소 우려, 정국 불안 탓에 해외 투자은행(IB)들의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가 1%대 초반까지 내려앉았다. 재작년 한국의 노동생산성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바닥권인 33위로 평가됐다. 이렇게 어려운 때 임시 공휴일을 늘렸다가 기대한 만큼 내수 진작 효과는 보지 못하고 오히려 소비 여력을 줄이는 결과로 이어질까 우려된다.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