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수호' 의지 밝히며 밤샘집회
공수처 비판·경호처 응원 화환 줄서
소음·혼잡에 인근 주민·상권은 '울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리가 공수처(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를 체포하자!”
법원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재발부한 다음날인 8일.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4도로 예보되는 등 추운 날씨 속에서도 탄핵 반대 집회 참가자들은 밤샘집회를 열며 의기투합했다.
‘대통령 수호’ 밤샘집회로 의기투합한 탄핵 반대 시민들
연단에서는 야당과 여당 일부 정치인들에 대한 야유도 잇달았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문재인 전 대통령을 향해 “체포하라”는 구호를 외쳤고,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에 표결한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친윤계를 향해 작심발언을 이어가고 있는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 등을 ‘배신자’로 칭하는 노래를 재생하기도 했다.
일주일 동안 한남동 관저 앞에 출석 도장을 찍고 있다는 70대 조재만 씨는 “젊은 세대들에게 민주주의를 넘겨주기 위해 아침 일찍 나오고 있다”면서 “춥긴 하지만 이 정도는 감내할 수 있다. 헌법재판소나 사법부가 심판이 아니라 선수로 뛰려 하니까 문제다. 전쟁터에 2등은 없다. 계속 나와 우리가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
“경호처 파이팅” 화환도 줄 서고···탄핵 찬반 진영 간 신경전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집회 한 쪽에는 대통령 경호처와 윤 대통령을 응원하는 화환 수십 개가 줄 지어 놓여 있었다. 화환에는 충남 공주 출신인 박종준 경호처장을 향해 ‘공주의 자랑 박종준 경호처장’이라며 응원하거나 공수처를 비하하는 글이 적혀 있었다.
오전 10시 30분께에는 루터교회에서 대통령 관저에 가까운 쪽으로 집회 참가자들이 몰려 가자 경찰이 일시적으로 통행을 막았다. 이에 참가자들은 “왜 못 지나가게 하느냐”면서 거세게 항의했다.
수 명 규모로 일부 남아 있던 탄핵 찬성 집회 참가자들과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진보 측이 대다수 자리를 떠나 이들 사이를 막고 있던 경계가 사라지면서 인파가 섞인 탓에 양측은 서로를 향해 거친 욕설을 내뱉었다. 질서 유지 차원에서 경찰이 이들을 중재했으나 여전히 날선 분위기는 이어졌다.
이날 대통령 탄핵 반대 단체 측은 오후까지 집회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도 이날 오후 7시부터 일신홀 앞 차도에서 집회를 예고한 상태다.
━
집회 장기화에 주민·상권 불편 호소···소음 측정기도 등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장기화된 집회로 한남동 거주자들과 자영업자들은 불편을 호소했다. 서울 지하철 6호선 한강진역을 나가는 순간부터 집회 확성기 소리가 들려올 정도로 큰 소리가 일과 내내 이어졌기 때문이다. 인근 회사를 다니는 직장인들은 “오늘도 집회다”라면서 한숨을 내쉬었다.
이 때문에 집회 신고 장소와 그 맞은편에는 ‘집회 소음 측정 중’이라고 적힌 소음 측정기가 설치된 모습이었다. 다만 소음 측정기의 전원이 꺼져 있어 정확한 데시벨 측정은 어려웠다.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르면 낮 동안 주거지역과 학교·종합병원·공공도서관에서 열리는 집회는 5분간 측정한 소음의 평균치 60데시벨 이하, 그 밖의 지역은 10분간 측정한 소음의 평균치 70데시벨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근처 편의점을 운영하는 A 씨는 ‘폭탄을 맞은 것 같다’며 울상을 지었다. A 씨는 “매출은 올랐지만 인건비가 너무 많이 나가 감당이 안 될 지경이다. 원래 시간대별로 1명씩 근무하는데, 영장이 연장된 어젯밤에는 본사 직원까지 5명이 달라 붙어 근무했다”면서 “사람이 너무 많이 와 물건을 제대로 정리할 수도 없다. 이제 소강상태인가 싶었더니 다시 시작이다. 아르바이트생들이 전부 도망가게 생겼다”고 토로했다.
집회 인파가 늘어난 여파로 인근 상인들과 충돌이 있었지만 별다른 해결책은 없다고 한다. A 씨는 “경찰에 신고했지만 ‘교통 통제로 출동이 어렵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박민주 기자 mj@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