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농업대전환 7대 핵심전략’ 발표
쌀 과잉생산 대비하고 농가소득 증대
스마트 비닐하우스 도내 30% 보급
농식품기업도 1000개소 육성 지원
산지유통시설(APC) 25곳으로 확대
쌀 과잉생산 대비하고 농가소득 증대
스마트 비닐하우스 도내 30% 보급
농식품기업도 1000개소 육성 지원
산지유통시설(APC) 25곳으로 확대
이철우 경북지사가 2023년 6월 ‘이모작 공동영농’ 이 처음 도입된 문경 영순지구 들녘에서 트랙터를 몰고 있다.(사진제공-경북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상북도가 전국 최초로 시행한 ‘이모작 공동영농’을 2030년까지 100개소에 9000ha 규모로 확대한다.
이모작 공동영농은 경북도가 2023년 문경에서 처음으로 시행한 후 큰 성과를 올리면서 올해 정부 시책으로 채택됐다. 대단위 들녘에 벼농사 대신 이모작 영농을 통해 농가 소득과 곡물 자급률을 높이는 대신 쌀 생산 과잉도 해소하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경북도는 8일 농업소득 증대와 농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2030 농업대전환 7대 핵심전략’을 발표했다. 농촌인구 고령화와 인력부족, 이상 기후 등 대내외 여건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7대 핵심전략은 이모작 공동영농 확대와 농축산의 첨단화, 평면사과원 확대, 농식품 가공 경쟁력 강화, 농식품 수출 확대, 디지털 유통 완성, 고령화, 일손부족 대응한 선제적 준비다. 총 사업비는 2030년까지 1조1657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우선 이모작 공동영농은 지난해까지 구미, 상주, 영덕 등 도내 14개소에서 추진하고 있는 만큼 향후 대단위 들녘중심으로 도내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하도록 할 계획이다. 시범 사업으로 추진했던 문경 영순지구의 경우 농업생산액 3배, 농가소득 2배의 성과를 올린 바 있다. 농축산 첨단화를 위해서는 2030년까지 도내 비닐하우스의 30%인 2700ha에 스마트 시설을 보급하고 스마트 축산도 1400호로 확대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지역 대표 과수인 사과의 생산구조도 평면 사과원으로 전환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2030년까지 도내 사과원 면적의 30%, 6000ha까지 평면 사과원으로 전환한다는 구상이다. 평면 사과원은 ‘초밀식형’과‘다축형’ 재배상식으로 수폭을 최대한 줄이면서도 광 투과율을 높여 기존 사과원보다 2배 높은 고품질 사과를 생산할 수 있다. 작업도 쉽고 노동력이 크게 절감된다.
지역 농산물 소비촉진과 부가가치를 높이는 가공산업대전환에도 속도를 낸다. 이를 위해 경북도는 2030년까지 농식품기업 1000개소를 육성 지원하고, 매출 100억원 이상 우수기업을 200개소로 육성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2030년까지 농식품 수출 2조원 달성도 목표로 내세웠다. 이를 위해 포도, 딸기 등 해외 선호도가 높은 신품종 재배를 확대하고, 김밥·김치·음료 등 현지인들의 입맛을 맞춘 K-푸드로 해외시장을 집중 공략한다.
급변하는 유통환경에 대응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통의 디지털화도 추진한다. 농산물은 평균 4~5단계의 복잡한 유통구조를 가지고 있어 유통비용이 가격의 50%에 육박하는 만큼 산지유통조직을 강화할 계획이다. 기존 산지유통시설(APC)은 인력에 의존하던 작업을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스마트 APC를 2030년까지 25개소를 건립할 예정이다.
후계 청년농업인 육성과 농번기 영농인력 공급에도 적극 나선다. 2030년까지 청년농업인 8000명을 육성하고 외국인 계절근로자 공급체계도 농가 단위에서 필요한 인력을 직접 배정받아 관리하던 것을 공공 영역에서 관리·운영해 필요한 농가에 공급하는 체계로 전환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현재 4개소인 공공형 계절근로센터를 2030년까지 50개소로 확대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민선 8기를 시작하면서 농업의 틀을 바꾸어 나가는 농업대전환을 위해 쉼 없이 달려왔다”며 ”경북의 농정 혁신 ‘농업대전환’으로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를 열어가는 데에 모든 행정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