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공수처가 수사 과정마다 논란을 일으키는 건 수사역량의 문제도 있지만, 근본적으론 졸속입법의 한계 때문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급하게, 무리하게 절차를 밟다보니 법적 모순과 문제점을 따져보지 못한 채 통과시켰기 때문입니다. 당시 민주당 소속으론 유일하게 공수처법에 반대했던 금태섭 전 의원은 "우려가 현실이 됐다"고 했습니다.
이태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19년 12월, 당시 여당이었던 민주당은 '검수완박'의 일환으로 공수처법을 강행 처리했습니다.
김재경 / 당시 자유한국당 의원
"공수처법은 태어나서는 안 될 괴물입니다. 탄압법이요 죽이기 법입니다.”
민주당 일각에서도 옥상옥 기구가 만들어지면 수사기관 혼선이 빚어질 수 있고, 과잉 수사 우려가 있다며 반대하는 목소리가 있었습니다.
당내에서 유일하게 기권표를 던졌던 금태섭 전 의원은 당론에 따르지 않았단 이유로 징계까지 받았습니다.
"사법부의 독립성이나 정치인들의 활동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졸속 입법의 부작용은 내란죄 수사 과정 곳곳에서 노출됐습니다.
공수처 수사대상엔 대통령이 포함돼 있지만, 정작 현직 대통령을 소추할 수 있는 내란죄와 외환죄는 공수처 수사 대상에서 빠져있습니다.
특히 공수처는 대통령에 대한 기소권이 없기 때문에 윤석열 대통령을 재판에 넘기려면 결국 다시 검찰로 사건을 보내야합니다.
"공수처라는 것이 전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기관이기 때문에… 졸속으로 만들어지다 보니까 이게 이번 기회에 다 드러난 겁니다."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은 문재인 정부가 만든 '무능 괴물' 공수처는 폐지가 답이라고 지적했지만, 민주당은 "자식이 범죄를 저질렀다고 부모가 책임질 순 없는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TV조선 이태희입니다.
이태희 기자(golee@chosun.com)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공수처가 수사 과정마다 논란을 일으키는 건 수사역량의 문제도 있지만, 근본적으론 졸속입법의 한계 때문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급하게, 무리하게 절차를 밟다보니 법적 모순과 문제점을 따져보지 못한 채 통과시켰기 때문입니다. 당시 민주당 소속으론 유일하게 공수처법에 반대했던 금태섭 전 의원은 "우려가 현실이 됐다"고 했습니다.
이태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19년 12월, 당시 여당이었던 민주당은 '검수완박'의 일환으로 공수처법을 강행 처리했습니다.
김재경 / 당시 자유한국당 의원
"공수처법은 태어나서는 안 될 괴물입니다. 탄압법이요 죽이기 법입니다.”
민주당 일각에서도 옥상옥 기구가 만들어지면 수사기관 혼선이 빚어질 수 있고, 과잉 수사 우려가 있다며 반대하는 목소리가 있었습니다.
당내에서 유일하게 기권표를 던졌던 금태섭 전 의원은 당론에 따르지 않았단 이유로 징계까지 받았습니다.
금태섭 / 당시 더불어민주당 의원 (2019년 10월)
"사법부의 독립성이나 정치인들의 활동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졸속 입법의 부작용은 내란죄 수사 과정 곳곳에서 노출됐습니다.
공수처 수사대상엔 대통령이 포함돼 있지만, 정작 현직 대통령을 소추할 수 있는 내란죄와 외환죄는 공수처 수사 대상에서 빠져있습니다.
특히 공수처는 대통령에 대한 기소권이 없기 때문에 윤석열 대통령을 재판에 넘기려면 결국 다시 검찰로 사건을 보내야합니다.
금태섭 / 前 더불어민주당 의원
"공수처라는 것이 전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기관이기 때문에… 졸속으로 만들어지다 보니까 이게 이번 기회에 다 드러난 겁니다."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은 문재인 정부가 만든 '무능 괴물' 공수처는 폐지가 답이라고 지적했지만, 민주당은 "자식이 범죄를 저질렀다고 부모가 책임질 순 없는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TV조선 이태희입니다.
이태희 기자(golee@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