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7 (화)

이슈 물가와 GDP

과일값 14년만에 최대폭 상승… “고환율에 연초 물가 더 오를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작년 물가 2.3% 완만한 상승에도

농산물 10.4%, 신선식품 9.8% 올라

“딸기 한 팩 1만원 넘어 구입 망설여”

동아일보

31일 오후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과일들이 진열돼 있다. 김동주 기자 zoo@donga.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부 강모 씨(35)는 최근 장을 보던 중 과일 코너 앞에서 한참을 서성였다. ‘할인 판매’라는 안내가 무색하게 손바닥만 한 딸기 한 팩이 1만 원을 넘었기 때문이다. 강 씨는 “며칠 전에 친정댁에 가져갈 귤을 사는데 4만 원을 받아 깜짝 놀랐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과일 등 농산물 물가가 1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되는 이상기후로 봄철 사과부터 겨울철 딸기, 귤까지 가정에서 즐겨 찾는 과일값이 줄줄이 뛴 영향이다. 지난해 전체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2.3% 올라 2020년(0.5%) 이후 가장 완만한 오름세를 보이고 있지만 밥상물가와 직결되는 농산물 가격이 널뛰는 데다 ‘환율 1500원 시대’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어 새해 물가 불안이 높아지고 있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농산물 물가는 1년 전보다 10.4%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13.5%) 이후 14년 만에 가장 큰 상승률이다. 품목별로 보면 배(71.9%), 귤(46.2%), 사과(30.2%), 배추(25.0%) 등의 가격이 가파르게 뛰었다.

과일과 채소를 중심으로 신선식품 가격은 1년 전보다 9.8% 뛰었다. 이 역시 2010년(21.3%) 이후 최고치다. 이 중 과일류가 포함되는 신선과실 물가상승률(17.1%)은 2004년(24.3%) 이후 20년 만에 가장 높았다. 폭염 등 이상기후로 작황이 부진해진 게 영향을 미쳤다.

밥상물가가 연일 오르면서 원재료 가격 상승분을 가격에 바로 반영하기 어려운 자영업자도 울상이다. 충북 청주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이모 씨(32)는 “크리스마스와 연말에 딸기를 얹은 케이크 주문이 늘었지만, 딸기 가격이 워낙 비싸 남는 게 별로 없다”고 말했다.

쌀, 라면 등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 역시 지난해 2.7% 올랐다. 서울에서 직장을 다니는 서모 씨(28)는 “국밥 한 그릇이 1만 원이 된 지 오래됐지만 월급이 그만큼 오른 건 아니기 때문에 여전히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서 씨는 커피값이라도 아끼기 위해 회사에 인스턴트커피를 가지고 다닌다.

요동치는 환율이 새해부터 수입물가를 자극하는 점도 물가 우려 요인으로 꼽힌다. 경기 침체에 비상계엄과 탄핵 사태가 겹쳐 최근 원-달러 환율은 1500원 선에 근접하게 치솟고 있다. 이에 유가가 꿈틀대면서 지난해 12월 석유류 물가는 1년 전보다 1.0% 올라 4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12월 소비자물가는 1.9% 올라 10월(1.3%), 11월(1.5%)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31일 물가 상황 점검회의에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최근 고환율 등으로 좀 더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세종=송혜미 기자 1am@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