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초점] 사고 기종 전수 조사…"오늘 저녁 미 조사팀 입국"
<출연 : 최기영 인하대 항공우주학과 교수>
정부 조사가 본격화하고 있지만 참사 원인에 대한 여러 의문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최기영 인하대 항공우주학과 교수와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1> 이번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 원인과 관련해 여러 얘기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교수님이 보시기에 이번 사고 원인 어떻게 추정해볼 수 있겠습니까?
<질문 2> 오늘 국토부는 사고 당시 긴박했던 마지막 9분 상황을 발표했습니다. 관제탑이 조류 충돌 주의를 주고 난 뒤 여객기는 '메이데이'를 선언했고, 조류 충돌로 복행을 시도한다는 '버드 스트라이크 고잉 어라운드'를 외쳤다고 합니다. 당시 상황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3> 무안국제공항의 경우 조류 충돌 발생률이 전국 14개 지방공항 가운데 가장 높은데요. 사고 당시에는 조류 충돌 예방 인력 4명이 근무하고 있었고, 이 중 1명이 3교대로 야외에서 감시 활동을 벌이고 있었다고 전해졌습니다. 인력은 충분했다고 보세요?
<질문 4> 무안공항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 둔덕에 대한 의문은 계속 제기되는 것 같습니다. 공항에 필요한 구조물이라곤 하는데, 이 구조물이 피해 키웠다고 볼 수 있습니까?
<질문 5> 활주로 사고 영상을 보면 비행기 기체 앞부분은 떠 있고 뒷부분이 땅바닥에 쓸려 지나가고 있거든요. 동체 착륙을 시도한 상황에서 이 부분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질문 6> 일각에서는 랜딩기어 외에도 전반적인 기체결함 얘기도 나옵니다. 조류 충돌에 따른 한쪽 엔진 고장만으로는 이러한 대형 참사가 벌어지긴 어렵다는 건데요. 한쪽 엔진이 고장났다면 다른 엔진과 제동장치가 작동해야하는데 하지 않은 점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기체결함 가능성은 어떻게 보세요?
<질문 7> 사고가 난 여객기는 사고 직전 48시간 동안 13차례 운항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제주항공 측은 무리한 운항은 아니었다고 하는데요. 이 정도 스케줄은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까?
<질문 8> 이번 항공기 기종이 보잉 737-800 입니다. 기령은 15년 정도 됐다고 하고 이정도면 기령만으로 문제로 보긴 어렵다고 분류하던데요. 여객기 출도착 전 정비의 문제가 있을 수도 있었을까요?
<질문 10> 또, 처음에 착륙을 시도할 때는 활주로 01 방향이었다가 조류 충돌주의경보에 방향을 180도 틀어 19번 방향 활주로로 착륙을 시도했는데요. 활주로 번호별로 각도가 달라진다고 하고요. 활주로 간에도 방향의 차이가 있었을텐데, 이런 부분도 영향이 있었을까요?
<질문 11> 일각에서는 화재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남아 있는 연료가 비행기에 있었을 텐데 그 연료 때문에 화재가 더 크게 났다는 시각도 있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2> 정부는 사고 항공기의 블랙박스가 김포공항 시험분석센터에 도착했다고 밝혔습니다. 비행기록장치와 조종석 음성녹음장치를 모두 회수했다고 하는데요. 다소 손상된 상태라고 하는데, 확인하는데는 문제가 없을까요?
<질문 13> 사고조사 참여를 위해 오늘 밤 미국 교통안전위원회(NTSB) 관계자 2명과 기체 제작사인 보잉 관계자 2명이 입국합니다. 조사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요?
<질문 14> 국토부는 여객기 사고 경위 조사는 짧으면 6개월, 길면 3년이 걸린다고 합니다. 왜 이렇게 길게 걸리는 걸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연 : 최기영 인하대 항공우주학과 교수>
정부 조사가 본격화하고 있지만 참사 원인에 대한 여러 의문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최기영 인하대 항공우주학과 교수와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1> 이번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 원인과 관련해 여러 얘기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교수님이 보시기에 이번 사고 원인 어떻게 추정해볼 수 있겠습니까?
<질문 2> 오늘 국토부는 사고 당시 긴박했던 마지막 9분 상황을 발표했습니다. 관제탑이 조류 충돌 주의를 주고 난 뒤 여객기는 '메이데이'를 선언했고, 조류 충돌로 복행을 시도한다는 '버드 스트라이크 고잉 어라운드'를 외쳤다고 합니다. 당시 상황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2-1> 국토부 조사에 따르면 복항하는 과정에서 어느 순간 관제사와 소통이 원활하지 않고 착지하게 됐다고 하는데요?
<질문 3> 무안국제공항의 경우 조류 충돌 발생률이 전국 14개 지방공항 가운데 가장 높은데요. 사고 당시에는 조류 충돌 예방 인력 4명이 근무하고 있었고, 이 중 1명이 3교대로 야외에서 감시 활동을 벌이고 있었다고 전해졌습니다. 인력은 충분했다고 보세요?
<질문 4> 무안공항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 둔덕에 대한 의문은 계속 제기되는 것 같습니다. 공항에 필요한 구조물이라곤 하는데, 이 구조물이 피해 키웠다고 볼 수 있습니까?
<질문 5> 활주로 사고 영상을 보면 비행기 기체 앞부분은 떠 있고 뒷부분이 땅바닥에 쓸려 지나가고 있거든요. 동체 착륙을 시도한 상황에서 이 부분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질문 5-1> 주요 참사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것 중엔 랜딩기어가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았다는 점이 있습니다. 랜딩기어가 작동을 안 했다고 해도 다른 브레이크 역할을 할 수 있는 보조 장치들이 있었을텐데, 역시 정상 작동을 하지 못한걸까요?
<질문 6> 일각에서는 랜딩기어 외에도 전반적인 기체결함 얘기도 나옵니다. 조류 충돌에 따른 한쪽 엔진 고장만으로는 이러한 대형 참사가 벌어지긴 어렵다는 건데요. 한쪽 엔진이 고장났다면 다른 엔진과 제동장치가 작동해야하는데 하지 않은 점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기체결함 가능성은 어떻게 보세요?
<질문 7> 사고가 난 여객기는 사고 직전 48시간 동안 13차례 운항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제주항공 측은 무리한 운항은 아니었다고 하는데요. 이 정도 스케줄은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까?
<질문 8> 이번 항공기 기종이 보잉 737-800 입니다. 기령은 15년 정도 됐다고 하고 이정도면 기령만으로 문제로 보긴 어렵다고 분류하던데요. 여객기 출도착 전 정비의 문제가 있을 수도 있었을까요?
<질문 9> 현재 사고 항공기는 동체가 두동강이 나고 화재로 인해 형체를 알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파편만 남은 상태인데요. 항공기 정비 문제 여부 등을 추후 조사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까?
<질문 10> 또, 처음에 착륙을 시도할 때는 활주로 01 방향이었다가 조류 충돌주의경보에 방향을 180도 틀어 19번 방향 활주로로 착륙을 시도했는데요. 활주로 번호별로 각도가 달라진다고 하고요. 활주로 간에도 방향의 차이가 있었을텐데, 이런 부분도 영향이 있었을까요?
<질문 11> 일각에서는 화재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남아 있는 연료가 비행기에 있었을 텐데 그 연료 때문에 화재가 더 크게 났다는 시각도 있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2> 정부는 사고 항공기의 블랙박스가 김포공항 시험분석센터에 도착했다고 밝혔습니다. 비행기록장치와 조종석 음성녹음장치를 모두 회수했다고 하는데요. 다소 손상된 상태라고 하는데, 확인하는데는 문제가 없을까요?
<질문 12-1> 블랙박스는 고온에서도 고장나지 않도록 설계가 되고, 꼬리 쪽에 설치된다고 합니다. 이번 사고의 경우 폭발이 워낙 컸고, 화재가 지속됐기 때문에 블랙박스도 훼손될 수 밖엔 없었다고 하는데 어떻습니까?
<질문 13> 사고조사 참여를 위해 오늘 밤 미국 교통안전위원회(NTSB) 관계자 2명과 기체 제작사인 보잉 관계자 2명이 입국합니다. 조사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요?
<질문 14> 국토부는 여객기 사고 경위 조사는 짧으면 6개월, 길면 3년이 걸린다고 합니다. 왜 이렇게 길게 걸리는 걸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