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1기 신도시인 경기 성남시 분당구, 고양시 일산, 안양시 평촌, 군포시 산본, 부천시 중동의 영구 임대 주택 1만4000가구를 대상으로 재건축을 본격 진행한다고 29일 밝혔다.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 전경.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분당은 ▲청솔6단지(1300가구) ▲하얀6단지·목련1단지(각 1500가구) ▲한솔7단지(1700가구)가 대상이다.
평촌·산본은 ▲관악(500가구) ▲가야2단지(900가구) ▲매화1단지(1300가구) ▲ 주몽1단지(1200가구)가 포함됐다.
또한 별도로 재건축을 통해 신규 공공주택 7200가구를 지을 예정이다. 이에 따라 기존 영구 임대 주택 재건축분 1만4000가구와 신규 공공주택 7200가구를 합한 총 2만1200가구를 2037년까지 순차적으로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영구 임대 주택과 민간 아파트가 섞여 있는 단지는 주민이 희망할 경우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사업 시행자로 하는 통합 재건축을 추진한다. 특히 통합 재건축 단지에 대해서는 영구 임대 재건축으로 나오는 물량을 공공기여로 인정해 사업성을 높이는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다. 재건축 공사에는 민간 건설사도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재건축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기존 거주민이 임시로 머물 주택은 1기 신도시 인근에 있는 영구 임대 주택을 활용할 계획이다. 현재 5개 신도시 인근에는 영구 임대 주택 4300가구를 포함해 총 1만3000가구의 공공 임대 주택이 있다. 이주는 2033년까지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국토부는 재건축 계획 수립에 앞서 지난 10~11월 거주민 975가구를 대상으로 임시 거처에 관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임시 거처와 관련해서는 교통, 병원, 상권 등 주변 환경이 중요하다는 응답이 39.0%로 가장 많았다.
이어 ‘현 거주지 이격거리’(37.3%), ‘주택 내부 환경’(8.5%) 등이 뒤를 이었다.
이동할 주택 유형으로는 공공 임대나 영구 임대 등 공공이 마련하는 거처를 97.1%가 선호했다. 공공이 제공하는 거처 중에서는 영구 임대 주택(50.2%)을 원한다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방재혁 기자(rhino@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