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장 증설 삼양식품, 지난주 이어 목표가↑
애경산업·두산테스나·현대제철 등 목표가↓
이번주 SBS의 목표주가가 올랐다. 넷플릭스와 6년간 콘텐츠 공급 계약을 맺으면서 시장의 호평을 받았다. 광고 시장 회복과 함께 드라마 편성 수도 늘면서 실적이 대폭 상향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애경산업과 두산테스나 등의 목표가는 낮아졌다. 애경산업 화장품 부문의 수출 80%를 차지하는 중국 수요가 줄어들면서 실적 감소가 예상됐다. 스마트폰 시장이 좁아지면서 카메라 모듈을 생산하는 두산테스나도 타격받을 것이란 전망이다.SBS, 넷플릭스와 콘텐츠 공급 계약 호재
이번주 SBS의 목표가가 대폭 올랐다. 이기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SBS 목표가를 2만원에서 4만원으로 올리면서 "SBS가 최근 넷플릭스와 체결한 콘텐츠 공급 계약 규모가 6년간 1조원 이상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단순하게 표현하면 웨이브로 방영되던 신·구작들이 넷플릭스로 가고 해외 콘텐츠 매출이 추가 공급되는 것"이라며 "계약기간 6년은 국내 최장 기간으로 글로벌 최초로 방송사 편성 전체를 서비스하는 등 모든 면에서 전례가 없는 역대급 계약"이라고 밝혔다.
신은정 DB금융투자 연구원도 SBS 목표가를 2만3000원에서 3만원으로 올려 잡았다.
2024년 12월 넷째주 목표주가 상향 주요 목록/그래픽=비즈워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삼양식품의 목표가를 100만원으로 제시한 증권사도 등장했다. 지난주 키움증권(80만원→ 95만원)과 DS투자증권(72만원→ 85만원)이 이 회사 목표가를 높인 데 이어, 이번주에도 목표가 상향이 이어졌다.
한유정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양식품의 미국 점유율 확대를 호재로 꼽으면서 목표가를 8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올렸다. 그는 "삼양식품의 2024년의 미국 인스턴트 라면 시장점유율은 8.1%로 일본 전통 라면 판매 기업 '니신'과의 격차를 축소하는 중"이라며 "미국 월마트와 코스트코에서 입점 매장을 늘리는 동시에 품목 수를 확대 중"이라고 밝혔다.
애경산업·두산테스나 등 실적 감소 전망…목표가↓
하나증권은 애경산업의 중국 수출이 줄어 실적도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 애경산업 목표가를 2만원에서 1만8000원으로 낮췄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현재 비중국 지역 수출 비중이 20%에 못 미쳐 중국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4분기에도 3분기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수요 부진이 지속되면서 수출이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년 12월 넷째주 목표주가 하향 주요 목록/그래픽=비즈워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DB금융투자는 스마트폰 시장 약세를 이유로 꼽으면서 두산테스나 목표가를 5만5000원에서 3만원으로 내렸다.
서승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모바일 시장이 약세를 보이면서 이미지센서(CIS)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프로세서(AP)의 가동률이 하락했다"며 "두산테스나의 4분기 매출,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한 848억원, 48% 감소한 70억원을 기록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광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제철 목표가를 2만9000원에서 2만7000원으로 내려 잡았다. 철강 가격 상승이 지연되면서 실적이 컨센서스를 밑돌 것으로 예상했다.
박 연구원은 "현대제철의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5조7000억원, 765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매출액 5조8000억원·영업이익1173억원)를 밑돌 것"이라며 "중국 경기 부양책이 (예상과 달리) 중국과 한국 철강 가격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가운데 실수요 개선에 대한 의구심이 가격 상승을 제한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승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2025년 상반기까지 수요 약세에 따른 범용 메모리 업황 둔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삼성전자 목표가를 9만원에서 7만9000원으로 낮췄다. KB증권도 삼성전자 목표가를 8만원에서 7만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청기홍기]의 모든 콘텐츠는 투자 권유, 주식가치의 상승 또는 하락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 봐주세요!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