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주요 결과 발표
담배제품 현재사용률·고위험음주율…세종 '최저'·강원 '최고'
(서울=연합뉴스) 서울 마포구의 한 무인 전자담배 판매점에 설치된 자동판매기에 합성니코틴 액상형 전자담배가 진열돼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흡연율이 일반담배에선 줄고 전자담배에서는 늘어나는 등 담배 이용 행태가 뚜렷하게 변하고 있다. 전자담배 사용자가 늘면서 한때 주춤했던 흡연율은 3년 연속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으로 한때 감소하던 음주율도 높아지고 있고, 비만율 역시 신체활동 실천율 증가에도 불구하고 지속해서 높아지는 추세다.
질병관리청은 전국 258개 보건소를 통해 성인 23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주요 결과를 22일 공개했다.
올해 일반담배와 전자담배를 통합한 담배제품 현재사용률은 22.6%로 지난해 대비 0.4%P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 당시 주춤했던 담배제품 현재사용률은 2022년부터 3년째 증가세다. 남자는 39.7%로 0.2%P 감소했고, 여자는 5.2%로 0.3%P 증가했다.
이 중 일반담배 현재흡연율은 꾸준한 감소세를 유지해 18.9%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1.4%P 줄었다.
반면 액상형·궐련형 전자담배 사용률은 증가 경향이 뚜렷했다. 올해는 8.7%로 전년 대비 0.6%P 증가했다.
음주율도 단계적 일상 회복이 시작된 2022년부터 다시 증가하고 있다.
최근 1년 동안 한 달에 1회 이상 술을 마신 월간음주율은 58.3%로 전년 대비 0.3%P 높아졌다.
한 번의 술자리에서 남자는 7잔(또는 맥주 5캔) 이상, 여성은 5잔(또는 맥주 3캔) 이상을 최소 주 2회 마신 고위험음주율은 12.6%로, 0.6%P 감소했다.
17개 시도 단위로 보면 담배제품 현재사용률과 고위험음주율은 세종이 각각 15.9%와 9.5%로 가장 낮은 반면, 강원이 24.4%와 15.9%로 가장 높았다.
[질병관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월간음주율은 전북이 53.5%로 가장 양호했고, 울산이 62.4%로 가장 미흡했다.
체질량지수 BMI 25 이상인 비만율은 34.4%로 전년 대비 0.7%P 증가했다.
비만율이 높아지는 것과 달리 체중을 줄이거나 또는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체중조절 시도율은 전년 대비 1.9%P 감소한 65.0% 집계됐다.
비만율은 세종이 29.1%로 가장 낮았고, 전남·제주가 36.8%로 가장 높았다.
걷기와 신체활동은 증가 추세를 유지했다.
'최근 1주일 동안 하루 30분 이상, 최소 주 5일간 걸은' 걷기실천율은 49.7%로 전년 대비 1.8%P 증가했다.
'최근 1주일 동안 하루 20분 이상 주 3일, 혹은 하루 30분 이상 주 5일 격렬한 신체활동을 하는 사람'의 비율을 칭하는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도 1.5%P 높아진 26.6%를 기록했다.
우울감 경험률은 6.2%로 1.1%P 감소했고, 일상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스트레스 인지율도 23.7%로 2.0%P 줄면서 개선됐다.
만성질환인 고혈압과 당뇨병 진단 경험률은 각각 21.1%와 9.4%로 집계됐다. 각각 전년 대비 0.5%P와 0.3%P 늘었다.
고혈압과 당뇨병을 진단받은 후 치료율도 90% 이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고혈압 환자 치료율은 93.5%, 당뇨병 환자 치료율은 93.4%다.
이 중 당뇨병 환자 치료율의 경우 지역 간 격차가 지난해 5.5%P에서 올해 15.8%P로 가장 크게 벌어져 해소 전략이 요구된다.
올해 당뇨병 환자 치료율은 전남에서 97.2%로 가장 높았고, 대전이 81.4%로 가장 낮았다.
지영미 청장은 "올해 조사에서 성인의 신체활동 실천은 증가하고 우울감 경험은 감소했으나 비만은 증가했다"며 "일반담배 흡연이 감소한 것과 달리 전자담배 등 다른 형태의 흡연을 포함한 전체 담배제품 사용은 소폭 증가한 양상"이라고 해석했다.
이어 "각 지자체에서는 건강지표 변화 추이를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토대로 효과적인 보건사업을 기획·추진하길 권한다"고 밝혔다.
올해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는 정책 연구 및 개발에 활용될 수 있도록 최종 검토를 거쳐 내년도 2월에 공개될 예정이다.
jandi@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