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3 (월)

이슈 유럽연합과 나토

높아지는 EU·미국 탄소 장벽… 배터리·車 업계 “입법 지원과 배출량 측정 도움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럽연합(EU)과 미국이 탄소 관련 통상 규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배터리·자동차 산업에 지원을 강화해달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제3차 산업부문 탄소중립 정책협의회’를 개최하고 배터리·자동차 산업 분야 탄소중립 지원 방안을 모색했다.

세계일보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EU는 올해 2월 배터리법을 시행하며 배터리 품목에 재생원료 사용, 폐배터리 수거 등 친환경 의무를 강화하는 조치를 취했다. 배터리 품목을 시작으로 2027년부터는 탄소배출량 등을 제공해야 하는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도 의무화된다.

미국은 탄소배출량이 많은 제품에 과세하는 청정경쟁법(CCA)과 해외오염관세법(FPFA) 입법을 앞두고 있다.

선양국 한양대 교수(에너지공학)는 “배터리 산업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 침체, 탄소규제 강화 등 어려운 여건 속에 중국이 독점한 배터리 원료·소재의 의존도를 낮춰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며 “재생원료 사용, 폐배터리 재활용, 지속가능한 원료 채굴 및 혁신공정 개발 등 노력을 통해 탄소중립 목표를 조기에 달성하고 시장 주도권을 되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 등 업계는 탄소중립 및 공급망 보안과 직결된 사용 후 배터리 산업과 관련해 통합법 제정을 건의했다. 김은아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은 ”사용 후 배터리를 폐기물이 아닌 원료로 재사용·재활용하는 ‘사용 후 배터리 산업’이 활성화되면 EU 배터리법 등에 대응할 수 있고, 기업의 탄소중립 달성에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구매 부품 수가 많은 자동차 산업 특성상 탄소배출량 측정과 취합에 어려움이 많다고 전했다. 강감찬 산업부 산업정책관은 “기업들의 탄소중립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 공급망 탄소 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차질 없이 이행해나가는 한편 사용 후 배터리 산업 육성정책 마련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대·중소기업을 막론하고 탄소 데이터 측정 및 취합에 어려움이 많다”며 “산업부와 함께 착수한 ‘디지털제품여권 대응 플랫폼 가이드라인 개발' 사업을 통해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데이터 문제 해결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유빈 기자 yb@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