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나경원 하마평…"경험 많은 원내 인사가 투톱체제로"
권영세, 尹정부 장관 맡은 '친윤'…나경원, '비윤' 이미지 있지만 탄핵 반대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석우 법무부 차관을 접견하고 있다. 2024.12.20/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신윤하 기자 = 국민의힘이 20일 권성동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의 원톱 체제보다 별도의 비대위원장을 두는 투톱 체제가 적합하다는 데 의견을 모아가고 있다.
국민의힘 3선 의원들은 이날 5선의 권영세·나경원 의원을 비대위원장 후보로 추천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의힘 재선·3선·4선 의원들은 이날 각 선수별로 모여 비대위원장 인선과 관련해 의견을 수렴했다. 이들은 모두 권 권한대행이 원내지도부를, 별도의 비대위원장이 비대위를 이끄는 투톱체제가 맞다고 결론을 내렸다.
권영진 의원은 재선 모임이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나 "원톱으로 갔을 때 지도부가 짊어져야 할 부담과 리스크를 줄이고 당의 목소리를 '투 보이스'(two voice)로 가는 게 어려운 국면을 이기는 데 좋겠다는 차원에서 원톱보다 투톱이 좋겠다는 의견이 다수였다"고 했다.
김석기 의원은 3선 모임이 끝난 후 "혼자서 할 경우에 아무래도 업무에 과부하가 걸리고 당대표 역할을 하는 비대위원장이 해야 할 일이 많아서 투톱으로 가는 게 맞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했다. 박대출 의원도 4선 모임이 끝난 후 "경험 많은 원내 인사가 투톱 체제로 당을 이끌어갔으면 좋겠다는 의견들에 공감대를 이뤘다"고 설명했다.
전날 진행된 초선 의원 모임에서도 '투톱 체제'에 무게가 실렸다. 김대식 의원은 초선 의원 모임 직후 "원내대표 한 분에게 너무 짐을 지우게 되면 너무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가능한 비대위원장과 원내대표가 분리 됐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고 했다.
또한 초선부터 4선까지 모두 선수가 원내 인사가 비대위원장을 맡아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최근 여권의 위기가 정치 경험이 부족하고 당 내부의 사정을 잘 모르는 외부 인사들인 '용병'에 당을 맡긴 결과란 인식이 팽배하다.
원내 인사 중에서도 경험이 많은 다선 5~6선 의원들이 비대위원장 후보로 거론된다.
특히 수도권을 지역구로 두고 있는 권영세·나경원 의원이 유력한 비대위원장 후보로 하마평에 오른다.
서울 용산을 지역구로 둔 권 의원은 윤석열 정부 초대 통일부 장관을 지낸 친윤(친윤석열계) 의원이다. 권 의원이 비대위원장직을 맡을 경우, 권 권한대행과 함께 '친윤 투톱 체제'를 구축하게 되는 셈이다.
서울 동작을을 지역구로 둔 나 의원은 지난해 3월 전당대회에서 친윤계 의원들의 연판장 사태 속에 당대표 경선 출마를 포기하는 등 '비윤' 이미지가 남아 있단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다만 최근엔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한 반대 목소리를 꾸준하게 내왔다.
이들은 수도권 지역구의 다선 의원이란 강점이 있지만, 윤 대통령 탄핵에 반대했던 만큼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중도층을 잡긴 힘들단 비판도 나온다.
이외에도 비대위원장 후보로 거론되는 김기현 의원의 경우엔 지역구도 영남이고, 지난해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 이후 책임론이 커져 당대표직을 사퇴했단 점이 한계로 꼽힌다. 김 의원도 친윤 색채가 강하다.
결국 후보군 중 누가 비대위원장이 되든 '도로 친윤당'이란 비판을 면하긴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의힘 의원 대다수가 12·3 비상계엄 당시 계엄해제요구안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데다가 탄핵에 반대했단 점에 대해 여론이 갈수록 악화하는 상황에서 국민 정서에 역행한단 지적도 나온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지금 하마평에 오르는 인물 모두 비대위원장으로 세운다고 했을 때 국민들이 어떻게 보겠냐. 또다시 친윤 일색의 지도부가 꾸려지는 것"이라며 "대선을 포기했다는 걸 공표하고 싶은 건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sinjenny97@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