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나라 연구팀이 남극의 두꺼운 해빙 아래 또 다른 얼음층 속에서 수없이 많은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단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했습니다.
물고기들이 얼음을 집처럼 이용하고, 사이사이에 알도 낳는 모습이 포착됐다는데 정구희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얼음의 땅 '남극'.
여기 두께가 3m나 되는 거대한 해빙, 즉 바다 얼음이 있습니다.
잠수부가 입수하자 얼음 밑 바다에서 칼처럼 날카로운 얼음 조각들이 보입니다.
더 깊게 내려가자 얼음 조각들은 10m 두께로 뒤엉켜 달라붙은 형태로 거대한 군집을 이룹니다.
바로 그 얼음 군집 속에서, 수없이 많은 생명체가 꿈틀거리는 모습이 사상 처음 포착됐습니다.
'남극의 비밀 서식지'가 모습을 드러낸 겁니다.
물고기가 얼음을 마치 집처럼 이용합니다.
얼음 군집의 존재 자체는 1905년 학계에 보고됐지만, 우리나라 극지연구소 연구팀은 그 안의 생태계를 세계 최초로 확인했습니다.
[김상희/극지연구소 생명과학연구부 : 실버피쉬(남극은어)가 심해어거든요. 연어처럼 심해에 살다가 먼바다에서 알을 낳을 때는 이 해빙생태계에 와서 알을 낳는다는 걸 알 수가 있었죠.]
이 얼음 군집은 초록색을 띱니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식물성 플랑크톤 때문인데 이들을 잡아먹은 동물들의 사체가 가라앉으면서 탄소를 심해에 저장하게 됩니다.
남극 해빙 아래 얼음층이 줄어들면 온실가스 흡수량까지 줄어드는 악순환으로 이어지는 이유입니다.
이번 겨울, 극지연구소 연구팀은 얼음 군집 속 생물들에 대한 표본화 작업을 벌이는데, '비밀의 얼음 생태계'를 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데도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 김학모, 영상편집 : 이상민)
정구희 기자 koohee@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우리나라 연구팀이 남극의 두꺼운 해빙 아래 또 다른 얼음층 속에서 수없이 많은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단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했습니다.
물고기들이 얼음을 집처럼 이용하고, 사이사이에 알도 낳는 모습이 포착됐다는데 정구희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얼음의 땅 '남극'.
여기 두께가 3m나 되는 거대한 해빙, 즉 바다 얼음이 있습니다.
사람이 들어갈 만한 크기의 구멍을 특수 장비로 뚫습니다.
잠수부가 입수하자 얼음 밑 바다에서 칼처럼 날카로운 얼음 조각들이 보입니다.
더 깊게 내려가자 얼음 조각들은 10m 두께로 뒤엉켜 달라붙은 형태로 거대한 군집을 이룹니다.
바로 그 얼음 군집 속에서, 수없이 많은 생명체가 꿈틀거리는 모습이 사상 처음 포착됐습니다.
'바다의 천사'란 별명의 클리오네, 즉 '고둥'부터, 극지의 작은 물고기까지.
'남극의 비밀 서식지'가 모습을 드러낸 겁니다.
물고기가 얼음을 마치 집처럼 이용합니다.
얼음 군집의 존재 자체는 1905년 학계에 보고됐지만, 우리나라 극지연구소 연구팀은 그 안의 생태계를 세계 최초로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얼음 속 물고기의 알들을 채집해 부화시키는 데도 성공했는데, 남극의 펭귄들이 주로 먹는 '남극은어'로 확인됐습니다.
[김상희/극지연구소 생명과학연구부 : 실버피쉬(남극은어)가 심해어거든요. 연어처럼 심해에 살다가 먼바다에서 알을 낳을 때는 이 해빙생태계에 와서 알을 낳는다는 걸 알 수가 있었죠.]
이 얼음 군집은 초록색을 띱니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식물성 플랑크톤 때문인데 이들을 잡아먹은 동물들의 사체가 가라앉으면서 탄소를 심해에 저장하게 됩니다.
남극 바다가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는 전체 바다의 40%나 됩니다.
남극 해빙 아래 얼음층이 줄어들면 온실가스 흡수량까지 줄어드는 악순환으로 이어지는 이유입니다.
이번 겨울, 극지연구소 연구팀은 얼음 군집 속 생물들에 대한 표본화 작업을 벌이는데, '비밀의 얼음 생태계'를 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데도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 김학모, 영상편집 : 이상민)
정구희 기자 koohee@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