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6 (월)

제자리 빙빙돌던 서울 6배 크기 ‘세계서 가장 큰 빙산’ 족쇄 풀고 북상중 [핵잼 사이언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지난 10월 20일 위성 촬영된 A23a. 사진=NASA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향인 남극대륙에서 떨어져 나왔다가 한 지역에 갇혀 몇달 째 제자리를 빙빙 돌던 ‘세계에서 가장 큰 빙산’이 다시 여행에 나섰다. 지난 15일(이하 현지시간) 영국 BBC 등 외신은 세계에서 가장 큰 빙산인 ‘A23a’가 결국 소용돌이에서 탈출해 북상 중이라고 보도했다.

영국 남극조사국 마이크 메레디스 교수는 “A23a가 잠시 갇힌 뒤 다시 움직이는 모습을 보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면서 “과거 남극에서 떨어져 나간 다른 대형 빙산처럼 같은 경로를 따라갈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A23a는 1986년 8월 남극 대륙 웨들해 깊숙한 곳에 위치한 필히너 빙붕에서 분리됐으나 1조t이 넘는 압도적인 무게 덕에 웨들해에 좌초되면서 그간 또 하나의 섬처럼 존재해왔다. A23a는 면적이 무려 4000㎢로 서울의 약 6.6배이며 두께는 약 400m로 여의도 63빌딩(약 250m)의 약 1.6배다. 이처럼 거대한 A23a의 ‘족쇄’가 풀릴 조짐을 보인 것은 2020년으로, 결국 지난해 11월 바람과 해류의 힘을 받은 빙산은 움직임에 가속도가 붙으며 본격적인 표류 여행에 나섰다.

서울신문

10월 한 달 동안 제자리를 빙빙도는 A23a. 사진=CSU/CIRA, NOAA


그러나 지난 4월쯤부터 A23a는 사우스오크니 제도 인근 바다에서 제자리를 빙빙 돌며 발이 묶였다. 실제로 지난 10월 한 달간 촬영된 위성 영상을 보면 A23a는 해당 지역의 바다 위를 매일 반시계 방향으로 15도씩 회전하며 제자리를 빙빙 돌았다. 이에대해 메레디스 교수는 “A23a가 제자리를 빙빙 도는 것은 폭 100㎞의 해저 융기부 위에 생긴 소용돌이 때문”이라면서 “A23a는 여기에 갇힌 포로가 된 셈”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A23a가 언제쯤 족쇄를 풀지 알 수 없다고 분석했으나 예상보다 빠른 시점에 이곳을 탈출해 여정에 오르게 됐다.

서울신문

드론으로 촬영한 A23a의 모습으로 파도가 만들어낸 터널같은 형상이 보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향후 A23a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일반적으로 아무리 거대한 크기의 빙산이라도 넓은 대양으로 향하면 따뜻한 수온과 높은 기온, 파도 등으로 여러 조각으로 나뉘다가 결국 녹아버려 A23a 역시 같은 운명을 맞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A23a는 웨들해를 거쳐 남아메리카 끝에서 동쪽으로 약 1600㎞ 떨어진 영국령 사우스조지아섬 근처로 이동할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섬에 자리잡으면 수백 만 마리의 물개, 펭귄, 바닷새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엄청난 빙산의 덩치가 이들 동물들의 정상적인 먹이 사냥 경로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악영향만 있는 것은 아니다. 거대한 빙산이 녹으면서 얼음에 포함된 미네랄 먼지를 방출해 해양 먹이사슬의 기초를 형성하는 영양분 공급원이 되기도 한다.

박종익 기자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