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2 (목)

“마이크론에 9조 주면 우린 어쩌나”…美보조금 무소식에 삼성·SK 발동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바이든정부, 신속지원 확정
트럼프 2기 보조금 폐지 전망
삼성·SK하이닉스 고심 깊어
수령땐 中 추가투자 제한 우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자국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테크놀로지(마이크론)에 9조원 규모의 반도체 지원법(CHIPS Act·반도체 칩과 과학법) 보조금 지급을 확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재집권을 코앞에 둔 현재 미국 반도체기업 인텔, 대만 TSMC에 이어 마이크론이 반도체 보조금을 확정하면서 미국 정부 정책에 따라 현지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고민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는 마이크론에 약 61억6500만달러(약 8조8000억원) 규모의 보조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4월 상무부는 마이크론에 해당 금액을 지원할 계획을 공개한 후 마이크론과 예비 거래각서를 체결했다. 이번에 최종 계약을 마무리하면서 보조금 지급이 확정된 것이다.

마이크론은 인텔(78억6000만달러), TSMC(66억달러), 글로벌파운드리스(15억달러)에 이어 칩스법에 따른 보조금을 확정한 네 번째 기업이 됐다.

매일경제

마이크론 로고. [AFP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마이크론은 뉴욕주와 아이다호주에 총 1250억달러를 투자해 약 2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보조금은 사업 진척 상황에 맞춰 단계별로 지급될 계획이다.

내년 초 트럼프 당선인 취임을 앞두고 조 바이든 정부가 자국 기업 중심으로 보조금 지급을 빠르게 확정 짓는 분위기다.

트럼프 당선인이 보조금 지급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했기 때문에 대통령 취임 후 반도체 보조금에 대한 전면 재검토가 이뤄지기 전에 신속하게 보조금 집행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급박한 상황 속에서 아직 보조금이 확정되지 않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여러 셈법을 두고 고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업계에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미국 정부와 예비 거래각서를 체결한 만큼 조만간 보조금이 최종 확정될 것으로 예상한다.

앞서 미국 정부는 예비 거래각서를 통해 삼성전자에 64억달러(약 9조1600억원), SK하이닉스에 4억5000만달러(약 6400억원)의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을 밝혔다.

매일경제

삼성전자는 440억 달러(약 60조원)를 투자해 텍사스주 테일러시 일대에 반도체 공장 2곳과 첨단 패키징 연구개발(R&D) 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사진 = 삼성전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현재 건설 중인 텍사스주 테일러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뿐 아니라 첨단 패키징과 연구개발(R&D)도 구축한다는 방침을 앞서 전했다. SK하이닉스도 인디애나주에 첨단 패키징 생산 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다.

그러나 변수가 생겼다. 보조금에 부정적인 트럼프가 이번 대선에서 당선됐기 때문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연내에 바이든 행정부와 최종 계약을 맺지 못하면 협상을 다시 진행해야 할 위험이 생긴 것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보조금이 연내 확정돼도 난제는 남아 있다.

미국 정부의 보조금을 받을 경우 우리 기업이 미국이 지정하는 중국 등 ‘우려 국가’에 새로운 반도체 제조시설을 설립하거나 기존 시설의 생산능력을 대폭 확장하는 데 제한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28㎚(나노미터·1㎚은 10억분의 1m) 이상의 성숙 공정을 제외한 첨단 공정에 대해 중국 내 신규 투자가 금지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현재 중국 내 시설에 대한 소규모 개조나 유지보수 투자는 가능하겠지만 이 또한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할 가능성이 커졌다.

한국 반도체 기업의 중국 의존도는 여전히 높은 편이다. 삼성전자 낸드플래시 중국 시안공장 생산 비중은 올해 40%에 육박했다.

SK하이닉스는 우시와 다롄에 10나노급 4세대 D램과 낸드플래시 생산시설을 각각 가동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D램 약 40%, 낸드플래시 약 30%가 중국 우시·다롄 공장에서 생산된다.

반면 TSMC는 중국에서 28나노급 공장을 난징에 운영하고 있고 마이크론 역시 중국에 패키징 시설만 가동 중이다.

김현재 연세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내년 트럼프 행정부 2기가 들어설 때 보조금 계약에 변동이 생길 여지도 남아 있다”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미국 반도체 보조금을 받았을 때 중국 내 사업에 다소 제약을 받을 수 있지만 이러한 위험을 감수하고 보조금을 확정받고 내년 사업 계획을 빠르게 추진하는 것이 더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