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승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5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와 관련,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은 강태훈 수능 채점위원장.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채점 결과 국어·수학영역 만점자가 각각 1000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영어·수학 모두 ‘불수능’이던 지난해보다 평이해지면서 지난해 1명뿐이던 전 과목 만점자도 총 11명 나왔다. 사회탐구 표준점수가 상승하면서 자연계 수험생이 소위 ‘대학 간판’을 높이기 위해 인문계열 전공에 대거 교차지원하는 ‘문과침공’은 약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지난달 14일 치러진 2025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를 5일 공개했다.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자 표준점수)을 보면 국어는 139점으로 지난해(150점)보다 11점 내려갔다. 국어 만점자는 1055명으로 64명에 그쳤던 작년의 16.5배였다. 이는 2022년 통합수능 도입 이후 가장 많은 숫자다. 표준점수는 개인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를 보여주는 점수로 통상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이 상승하고 시험이 쉬우면 하락한다.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은 140점으로 지난해(148점)보다 8점 떨어졌다. 수학 만점자는 지난해 612명의 2.5배인 1522명이다. 2023학년도엔 국어(134점)보다 수학(145점)이 11점 높았고, 2024학년도 수능에선 국어 영역이 2점 높았으나 이번엔 1점으로 격차가 줄었다.
전 영역 만점자 11명 중 재학생은 4명, 졸업생 등 ‘N수생’은 7명이다. 지난해 졸업생 1명에서 크게 늘었다. 만점자 11명은 2020학년도 15명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은 규모이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영어영역에서 원점수 90점 이상으로 1등급을 받은 수험생 비율은 6.22%(2만 8587명)으로 지난해 4.71%(2만 843명)보다 1.51% 포인트 올랐다. 영어가 절대평가로 전환된 2018학년도 이후 작년까지 1등급 평균 비율(7.74%)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이번 수능은 작년보다 평이하지만 ‘물수능’도 아니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입시업계에선 표준점수 최고점이 135점 이하이면 쉬운 시험, 145점 이상이면 어려운 시험으로 본다.
다만 최상위권에선 변별력이 하락해 눈치작전이 치열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의대 증원으로 최상위권 N수생이 대거 합류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평가원은 “국어·수학영역 만점자가 응시생의 0.2~0.3% 수준으로 충분히 변별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강태훈(성신여대 교수) 수능 채점위원장은 “이번 수능은 역대 수능과 비교해도 난이도 관리가 잘 됐다고 자평한다”며 “내년 수능도 올해 수준에서 출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탐구영역은 1등급 구분점수가 사회탐구 65~69점, 과학탐구 65~70점, 직업탐구 65~68점으로 형성됐다. 사탐 가운데 표준점수 최고점은 ‘생활과 윤리’가 77점으로 가장 높고 ‘정치와 법’이 66점으로 가장 낮다. 9개 과목 중 ‘정치와 법’, ‘사회·문화’, ‘경제’를 제외한 6개 과목에서 지난해 대비 표준점수 최고점이 올라 난이도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과탐에선 ‘화학Ⅱ’의 표준점수 최고점이 73점으로 가장 높고 ‘화학Ⅰ’이 65점으로 가장 낮았다. 과탐이 높은 최고점을 보였던 예년과 대조적이다.
올해는 이과생의 문과 교차지원이 감소할 것이라고 보는 이가 많다. 인문계열은 사탐, 자연계열은 과탐에 가산점을 도입한 대학이 많아졌고 사탐 점수가 상승해서다. 탐구영역은 합격 변수로도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유웨이교육평가연구소는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이 국어에 비해 높지만 유·불리 현상은 축소될 전망”이라며 “어렵게 출제된 탐구영역이 변별의 도구로 쓰일 것”이라고 했다.
올해 수능에는 46만 3486명이 응시했다. 재학생은 30만 2589명,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등은 16만 897명이다. 개인별 성적표는 6일 통지된다.
김지예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