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비상최고위·의총서 3대 제안
내각 총사퇴·관련자 책임·尹 탈당 요구
내각사퇴·국방장관 해임 등엔 의견 모았지만
대통령 탈당은 추가 논의
野 탄핵 추진 속, 벌써 이탈셈법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오른쪽)와 추경호 원내대표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의원총회를 마치고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국민의힘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 사태에 대해 일단 선을 그은 가운데 대통령실과도 거리를 두는 모양새다. 다만 조기 대선 실시와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대권가도 본격화와 직결되는 윤 대통령 탄핵안 추진에는 신중모드를 유지하고 있다.
여당은 계엄정국 수습 방안으로 비상계엄 선포를 건의한 김용현 국방장관 해임 등 관련자 문책, 내각 총사퇴, 대통령에 대한 탈당 요구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다만 이중 윤 대통령 탈당 요구에는 여당 내부에서조차 이견 차가 있는 만큼 이후 추가논의 과정을 거친다는 방침이다.
■韓 "갈아엎고, 책임묻고, 탈당해야"
한 대표는 4일 비상최고위원회와 비상의원총회에서 대통령실에 3가지 사항을 요구했다. 내각 총사퇴, 김용현 국방부 장관 등 비상계엄령 관련자에 책임 추궁, 그리고 윤 대통령의 탈당이다.
앞서 한 대표는 전날 오후 10시20분께 윤 대통령이 긴급 대국민담화를 통해 비상계엄령을 선포한 직후부터 이에 대해 "잘못된 것"이라며 확고한 반대 입장을 견지해 왔다. 여기에 더해 비상계엄령 해제 이후 윤 대통령의 탈당까지 요구하면서 비상계엄과 관련한 '용산 책임론'의 압박 수위를 끌어올리는 양상이다.
다만 여당은 내각 총사퇴와 비상계엄령 관련 관련자에 대한 책임을 묻는 데는 뜻을 모았지만, 윤 대통령의 탈당에는 당내 시각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 대표는 이날 비상의총 이후 기자들과 만나 "세번째 제안(대통령 탈당)에 대해선 여러 가지 의견들이 있어서 그 의견들을 들어보고 결정하기로 최종적으로 결정이 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당내에서도 계엄책임론을 묻기 위해선 대통령의 탈당이 불가피하다는 책임론과 자칫 잘못하다간 대통령의 탈당이 보수 전체의 궤멸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신중론이 엇갈리고 있다.
■野 탄핵소추'…'분열 트리거' 될까
여당에 윤 대통령의 탈당보다 더 중요한 관건으로 떠오른 것은 야당이 당장 이날부터 추진에 착수한 탄핵소추안 가결 여부다. 전날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 이후 의원 소집부터 두갈래로 나뉘어 혼전을 빚는가 하면 의총에서도 이견이 이어지면서 이르면 6일 본회의에 오를 것으로 보이는 탄핵소추안을 두고도 여권 내 이탈표가 나올 것이란 전망이 벌써부터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전날 의원을 소집하는 과정에서 국회의사당과 중앙당사 두갈래로 나뉘었다. 한 대표를 비롯한 친한계 의원 18명은 국회의사당에 모여 비상계엄령 해제 결의안 표결까지 참여했지만, 나머지 대다수 의원들은 국회 근처 중앙당사에서 당시 상황을 지켜봤다.
일각에선 국회의사당까지 향한 추경호 원내대표와 일부 의원이 청사 내에 있는데도 본회의장으로 집결하지 않은 점을 두고 불화설을 제기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날 비상의총 이후 한 대표는 이 같은 갈등 여부를 묻는 질문에 "큰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여전히 갈등의 불씨는 남아 있다. 윤 대통령의 탈당고 마찬가지로 탄핵소추 사안 또한 계파 간 시각차를 보이면서다. 이에 따른 추후 윤 대통령 탄핵소추 표 대결에서 탄핵소추에 필요한 8명의 이탈표가 나올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관측이다.
안철수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질서있게 대통령직에서 물러나실 것을 촉구한다"고 직격했고, 범야권 탄핵소추안 발의에 참여한 개혁신당 천하람 의원은 "최소 6명 이상의 여당 의원이 탄핵 찬성 의사를 이준석 의원이 확인했다고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대통령 #탈당 #여당 #계엄 #탄핵 #윤석열 #한동훈 #국민의힘
jhyuk@fnnews.com 김준혁 이해람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