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6 (목)

"밸류업, 日 증시서 교훈…상장폐지 두려워 말아야 질적 성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수연 박사, 한경협 의뢰 '日증시 재편 전략과 시사점' 보고서

뉴스1

'일본 증시 재편 전략과 시사점' 보고서(한국경제인협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최동현 기자 = 국내 주식시장의 고질적인 '코리아 디스카운트' 문제를 해소하고 체질 개선에 나서려면 일본 증시 재편 전략의 시행착오를 반면교사로 삼을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4일 나왔다.

김수연 법무법인 광장 연구위원은 이날 한국경제인협회의 의뢰로 연구해 이날 발표한 '일본 증시 재편 전략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증시는 2013년부터 2022년까지 9년간 두 차례에 걸쳐 대대적인 개편 작업을 거쳤다. 1차는 단순한 시장의 물리적 통합에, 2차는 증권 시장의 질적 성장에 초점을 맞춘 것이 골자다.

먼저 1차 개편은 2013년 1월 아베노믹스 개혁의 일환으로 도쿄증권거래소와 오사카증권거래소를 합병, '일본거래소그룹'(JPX)이 발족한 것을 시작으로 본다. 당시 도쿄증권거래소에 소속된 '제1부', '제2부', '마더스' 3개 시장에 오카사증권거래소에 속한 '자스닥(JASDAQ)', '스탠더드', '그로스' 5개 시장을 편입했다.

보고서는 일본의 1차 증시 개편이 실패로 끝났다고 평가했다. 기업 특성과 실태를 따지지 않고 시장을 물리적으로 통합한 탓에 시장 혼란이 가중됐다는 것이다. 특히 제1부 시장에선 시가총액 1조 엔인 기업과 10억 엔인 기업이 혼재하는 등 시장 구분이 무색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보고서는 "2019년 4월 말 기준 도쿄증권거래소 전체 상장기업 3634개 중 58.9%(2141개) 기업이 제1부 시장에 상장됐다"며 "1부 시장의 상장 장벽이 낮고, 상장폐지 기준도 허술해 최상위 시장에 적합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뉴스1

'일본 증시 재편 전략과 시사점' 보고서(한국경제인협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 차례 실패를 맛본 일본은 3년 뒤 제2차 증시 개편에 나섰다. 도쿄증권거래소가 2022년 4월 상장기업별 특성을 고려해 기존 5개 시장을 '프라임', '스탠더드', '그로스' 3개 시장으로 재편한 것이다.

최상위인 프라임 시장은 상장 유지 조건으로 △유동주식 시가총액 100억 엔 이상 △유동주식 비율 35% 이상을 걸었다. 신규상장 조건으로는 수익 기반 충실의 관점에서 △과거 2년간 이익 합계가 25억 엔 이상 또는 매출 100억 엔 이상 △시가총액 1000억 엔 이상 기준을 추가했다.

스탠더드 시장은 '내수시장으로 투자 대상이 되기에 충분한 유동성과 지배구조 수준을 보유한 기업 시장'으로 규정하고, 그로스 시장은 '스타트업 등 높은 성장 가능성을 가진 기업 시장'으로 정의했다.

시장별 정의와 엄격한 상장 유·폐지 조건을 확정한 도교증권시장거래소는 지난해 1월 유예 기간을 종료하고 미달 기업에 대한 상장 폐지를 단행했다. 올해 3월 기준 경과 조치 적용 기업은 프라임 시장 71개, 스탠더드 시장 154개다.

특히 올해 10월 기준으로 보면 신규상장사는 60곳인 반면, 상장폐지사는 82곳으로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신규상장보다 상장폐지가 더 많아졌다.

보고서는 "이들(상장유지 조건 미달) 기업들이 상장폐지를 면하기 위해 경영실적 개선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시장의 질적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본 증시 상장 기업의 '질적 성장'도 눈에 띄는 성과다.

2차 개편 초기인 2022년 7월과 2년 뒤인 2024년 4월의 프라임 시장의 시가총액 변화를 분석한 결과, 프라임 시장 시총 중앙값은 573억 엔에서 960억 엔으로 약 1.7배 증가했다. 스탠더드 시장의 시총 중앙값은 62억 엔에서 82억 엔으로 늘어났다.

보고서는 "같은 기간 프라임 시장의 상장 기업이 186개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기존에 프라임 시장으로 과도하게 유입된 기업들이 스탠더드·그로스 시장으로 이동하면서 JPX가 의도한 시장별 질적 성장이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고 했다.

김 연구위원은 "시장의 근본적인 개선 없이 밸류업 공시, 지수개발 등 정책을 추진하는 우리의 접근 방법과 차이 나는 부분이 바로 이 지점"이라며 "국내 시장의 구조적 문제인 상장폐지 요건 등을 검토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dongchoi89@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