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중·단기 외 계절 따라 3개월 단위 예보
고기압 영향으로 국내외 미세먼지 대기 정체 우려
한 총리 주재 2차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 확정
2029년까지 연평균 농도 OECD 중위권 목표
전국의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수준을 보인 지난 5월 서울 도심의 모습. (사진=방인권 기자) |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현재 초미세먼지 대한 오늘·내일·모레의 3일(단기), 이후 4일의 주간(중기), 36시간 전 고농도(50㎍/㎥ 초과) 예보에 더해, 이번 3개월 단위의 계절 전망(장기)을 예보 서비스에 추가로 제공한다.
계절 전망은 평년(최근 9년)과 전년 대비 전국 ‘평균 농도’와 ‘나쁨(35 ㎍/㎥ 초과) 이상 일수’에 대한 3분위별(높음·유사·낮음) 발생확률을 제공한다.
올 겨울(2024년 12월~2025년 2월)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전년보다 높을 확률이 50% 정도 되고, 평년 대비로는 유사하거나 낮을 확률이 각각 40%로 전망된다.
평년과 비슷하다고 하는 농도는 ‘24.9㎍/㎥에서 28.0㎍/㎥ 사이’, 낮다고 하는 농도는 ‘24.8㎍ 이하’다. ‘높다’는 ‘28.1㎍/㎥ 이상’이다.
기상청에서 지난 22일 발표한 3개월 전망(2024년 12월~2025년 2월)에 따르면 북서태평양, 인도양과 대서양의 높은 해수면 온도와 티베트의 적은 눈덮임 영향으로 우리나라는 고기압성 순환을 자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대기 정체로 인한 국내 오염물질 축적과 국외 미세먼지 유입 가능성이 커져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질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12월과 1월에 라니냐(서태평양 수온이 상승하며 동태평양 수온이 낮아지는 현상) 발생과 북극해 해빙 감소 영향으로 차고 건조한 북풍류의 발생도 예상된다. 이에 따라 청정기류 유입 영향 시기에는 초미세먼지 농도는 낮아질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전망 결과는 앞에서 언급한 기후 여건과 함께 초미세먼지와 상관성이 높은 인자와 초미세먼지 농도 변화추세를 고려하는 다중회귀 및 인공지능 모델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생산됐다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14차 미세먼지 특별대책위원회를 열고 ‘제2차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과 ‘제6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계획’을 심의해 확정했다.
이번 종합계획은 △국내 핵심배출원 감축 △생활주변 오염원 관리 △건강 보호 △과학적 정책 기반 △국제협력 등 5대 분야 총 83개 세부 과제로 구성됐다.
이날 정부가 확정한 제2차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은 2029년까지 전국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를 13㎍/㎥까지 줄이는 게 핵심이다. 2021년(연평균 18㎍/㎥)보다 농도를 27% 이상 낮춘다는 것이다.
연평균 농도를 13㎍/㎥ 낮추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위권이 된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대기관리권역 내 사업장이 배출할 수 있는 대기오염물질 한도(배출허용총량)도 줄이기로 했다. 대기관리권역 내 사업장이 배출하는 대기오염물질양이 국가 전체 배출량의 82%를 차지한다.
또 (액화천연가스)LNG와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선박을 2030년까지 528척 도입하고 무공해차는 2030년까지 누적으로 450만대까지 늘리기로 했다.
다음달 1일부터 내년 3월 31일까지 시행될 6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는 초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 등 초미세먼지 생성물질을 첫 계절관리제가 시행되기 전인 2018~2019년 겨울보다 11만2000톤(t) 감축하는 것이 목표다. 지난 5차 계절관리제 때보다 감축량 목표치를 2.8% 높여 잡았다.
6차 계절관리제로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1.2㎍/㎥ 낮추는 효과가 날 것으로 정부는 기대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